총 990건 중 990건 출력
, 14/99 페이지
-
131
-
백용성의 유적지 복원과 도솔암의 미래
-
김광식;
동국대학교;
(대각사상,
v.0,
2009,
pp.207-236)
-
132.
- 한반도 내 고고학적 유적지를 이용한 지구자기장 연구
- 박종규
-
강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45 L., 2020
-
133.
- 아산 풍기동 유적지 출토 기와의 정량분석과 연대측정 및 고고과학적 해석
- 유미연
-
공주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37, 2008
-
134
-
西周 周公廟 유적지 출토 寧風卜辭 고찰
-
이명희;
숙명여자대학교;
(중국문화연구,
v.0,
2015,
pp.157-174)
-
135
-
한국 선사시대의 자연환경 연구 - 선사유적지의 층위와 고생물과의 연관을 중심으로
-
박영철;
;
(韓國史硏究= The journal of Korean history,
v.1976,
1976,
pp.3-29)
-
136
-
서천 지산리 유적지에서 출토된 원삼국시대 토기의 고고지질학적 의미
-
정연삼;
이찬희;
최석원;
이남석;
공주대학교 지질학과;
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;
공주대학교 지질학과;
공주대학교 사학과;
(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05년도 제21회 발표논문집,
v.2005,
2005,
pp.12-18)
-
137
-
기고 - 살아 숨 쉬는 건축여행 ⑨ 백두산, 고구려유적지 답사 및 심양건축대학교 견학
-
김득수;
종합건축사사무소 S.S.P.삼대;
(建築士 = Korean architects,
v.647,
2023,
pp.106-113)
-
138
-
충북지역 동학농민혁명 유적지 보존과 활용 방안
-
김양식;
충북발전연구원;
(동학학보,
v.0,
2013,
pp.299-334)
-
139
-
퇴계 유적지에 담긴 퇴계의 풍수에 대한 인식
-
박성대;
성동환;
경북대학교;
대구한의대학교;
(한국학논집,
v.0,
2012,
pp.345-378)
-
140
-
부산지역 개신교 유적지 개발 및 활용 방안 연구
-
탁지일;
부산장신대학교;
(한국기독교신학논총,
v.0,
2011,
pp.77-9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