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55건 중 155건 출력
, 14/16 페이지
-
131
-
상상의 공동체에 대한 해석-영화⟨웰컴 투 동막골⟩의 시선으로 바라 본 소설『邊城』에 대한 斷想
-
이강인;
부산외국어대학교;
(동북아 문화연구,
v.1,
2014,
pp.477-489)
-
132
-
중국영화의 민족주의 현상에 대한 연구 -영화 ⟨영웅⟩과 ⟨집결호⟩를 중심으로-
-
이강인;
창원대학교;
(국제정치연구,
v.11,
2008,
pp.133-154)
-
133
-
중국영화의 제5세대와 제6세대에 대한 고찰
-
이강인;
창원대학교 중국학과;
(Journal of China Studies,
v.0,
2008,
pp.92-117)
-
134
-
중국문학과 노벨문학상의 의미적 해석 - 가오싱젠(高行健)과 모옌(莫言)을 중심으로 -
-
이강인;
부산외국어대학교;
(동북아 문화연구,
v.1,
2013,
pp.205-217)
-
135
-
중국TV드라마에 나타나는 ‘일상의 권력’에 대한 푸코적 해석
-
이강인;
부산외국어대학교;
(중국학,
v.0,
2018,
pp.283-296)
-
136
-
持續可能한 발전을 위한 資源循環社會 構築
-
이강인;
자원재활용기술개발사업단;
(자원리싸이클링,
v.16,
2007,
pp.11-14)
-
137
-
개혁개방과 그에 따른 중국사회 변화에 대한 지아장커(賈樟柯) 영화의 시대적 해석
-
이강인;
부산외국어대학교;
(중국학,
v.0,
2019,
pp.27-41)
-
138
-
「荊軻刺秦王」에 나타난 두 개의 이미지 - ‘협의(俠義)’와 ‘영웅(英雄)’에 대한 연구 -
-
이강인;
부산외국어대학교;
(중국인문과학,
v.0,
2023,
pp.349-363)
-
139
-
수췬(舒群)의 「조국 없는 아이(沒有祖國的孩子)」에 나타난 ‘공간’에 대한 푸코적 해석
-
이강인;
부산외국어대학교;
(중국학,
v.0,
2021,
pp.507-522)
-
140
-
푸코의 ‘헤테로토피아’를 통해서 본 수췬(舒群)의 『바다의 피안(海的彼岸)』
-
이강인;
부산외국어대학교;
(중국학,
v.0,
2020,
pp.525-54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