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852건 중 852건 출력
, 14/86 페이지
-
131
-
도통진경의 실천적 배경
-
주현철;
;
(대순사상논총,
v.5,
1998,
pp.569-613)
-
132
-
[특별기고] 도통진경의 이해
-
정대진;
대진대학교 부설 대진학술원;
(대순사상논총,
v.5,
1998,
pp.1-26)
-
133
-
도통진경의 종교적 의의
-
박승식;
대진대학교;
(대순사상논총,
v.5,
1998,
pp.515-567)
-
134
-
겸재 정선의 진경산수화에 나타난 수변의 미지형 경관 특성과 하경양식
-
김용희;
강영조;
동아대학교 대학원 도시조경학과;
동아대학교 조경학과;
(한국조경학회지 =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,
v.47,
2019,
pp.26-38)
-
135
-
조선후기 서양 투시도법의 수용과 진경산수화풍의 변화
-
박은순;
김홍남;
;
(美術史學 = Art History,
v.11,
1997,
pp.5-43)
-
136
-
實景에서 그리기와 記憶으로 그리기 - 朝鮮 後期 眞景山水畵의 視方式과 畵角을 중심으로
-
李泰浩;
;
(美術史學硏究 = Korean journal of art history,
v.257,
2008,
pp.141-185)
-
137.
- 겸재 진경산수화가 현대 산수화에 미친 영향
- 정선순
-
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ⅱ, 62 p., 2007
-
138
-
억간산(抑肝散)과 억간산가미방(抑肝散加味方)의 진경(鎭痙) 및 진통(鎭痛) 효과(效果)에 관(關)한 실험적(實驗的) 연구(硏究)
-
현우천;
이상룡;
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경정신과 교실;
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경정신과 교실;
(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=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,
v.5,
1994,
pp.69-79)
-
139
-
18세기 문예 공간에서 진경화와 그 추이
-
진재교;
;
(동양한문학연구,
v.35,
2012,
pp.331-362)
-
140.
- 현대회화에 나타난 진경산수 연구 : 연구자 작품을 중심으로
- 우나르새
-
충북대학교, 국내석사,
vii, 67 p., 202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