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68건 중 168건 출력
, 14/17 페이지
-
131
-
젠더 비평: 메타 비평으로서의 고전 독해
-
최기숙;
연세대학교;
(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,
v.0,
2006,
pp.319-348)
-
132
-
‘계몽의 역설’과 ‘서사적 근대’의 다층성 - 『제국신문』(1898.8.10.~1909.2.28) ‘논설ㆍ소설ㆍ잡보ㆍ광고’ 란과 ‘(고)소설’을 경유하여
-
최기숙;
연세대학교;
(고소설연구,
v.0,
2016,
pp.279-331)
-
133
-
탈경계를 위한 도전: ‘고전-여성-문학-사’를 매개하는 ‘젠더 비평’의 학술사적 궤적과 방향-‘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’의 학술사적 의의와 과제-
-
최기숙;
연세대학교;
(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,
v.0,
2012,
pp.5-44)
-
134
-
숨기는 힘, 숨은 역량: ‘내조’의 경계 해체와 여성 존경 언어의 회복을 위하여 - 18세기 조선의 ‘문(文)’ 양식에 나타난 여성의 자품(資稟) 수사 재성찰
-
최기숙;
연세대학교;
(민족문화연구,
v.0,
2017,
pp.261-300)
-
135
-
여종의 젖과 눈물, 로봇-종의 팔다리- ‘사회적 신체’로서의 노비 정체성과 신분제의 역설
-
최기숙;
연세대학교;
(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,
v.0,
2022,
pp.181-219)
-
136
-
豹變의 한국고전문학, 연구와 교육 -글로벌ㆍ디지털 환경, 젠더 감수성, (기계)번역을 경유하여
-
최기숙;
연세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22,
pp.217-258)
-
137
-
『묵재일기』, 16세기 양반의 감정 기록에 대한 문학/문화적 성찰
-
최기숙;
연세대학교;
(국어국문학,
v.0,
2020,
pp.321-364)
-
138
-
매 맞는 노비와 윤리/교양의 역설 - 『묵재일기』의 문학해석학적 연구*
-
최기숙;
연세대학교;
(동방학지,
v.0,
2023,
pp.159-187)
-
139
-
여종과 유모: 17~19세기 사대부의 기록으로부터-‘일상ㆍ노동ㆍ관계’와 윤리 재성찰을 위하여
-
최기숙;
연세대학교;
(국어국문학,
v.0,
2017,
pp.105-162)
-
140
-
18?19세기 '複數 창작 전'의 창작 경위와 글쓰기 방식-흔적, 기억, 창조: '언어적' 인간의 탄생과 棲息
-
최기숙;
연세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05,
pp.289-32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