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86건 중 186건 출력
, 14/19 페이지
-
131
-
홍성담의 ‘그로테스크 리얼리즘,’ 그 불편함의 미학적 정당성: 바흐친의 ‘카니발(Carnival)’ 이론을 중심으로
-
최종철;
이화여자대학교;
(현대미술학 논문집,
v.20,
2016,
pp.149-200)
-
132
-
포스트 진실 시대의 예술: 동시대 예술의 이율배반적 조건들
-
최종철;
이화여자대학교;
(미학예술학연구,
v.63,
2021,
pp.198-221)
-
133
-
‘예술의 종말’ 그리고 ‘종말의 예술’: 아서 단토의 《9/11의 예술》전시에 대한 소고
-
최종철;
이화여자대학교;
(미술이론과 현장,
v.0,
2022,
pp.63-84)
-
134
-
로잘린드 크라우스 포스트 미디엄 이론의 이중성에 관한 변증적 고찰
-
최종철;
이화여자대학교;
(미학예술학연구,
v.46,
2016,
pp.211-263)
-
135
-
‘포스트 다큐멘터리’ : 예술과 정치 사이에서
-
최종철;
이화여자대학교;
(미학예술학연구,
v.51,
2017,
pp.65-94)
-
136
-
“걱정을 멈추고 폭탄을 사랑하기” : 포스트 미디엄 이론을 통해 본 디지털 이후의 미디어 아트
-
최종철;
미야자키 국제대학교;
(미학예술학연구,
v.53,
2018,
pp.75-116)
-
137
-
‘나는 살 수 없다 그러나 우리는 다시 살 수 있다’: 만년의 양식, 포스트 세월호 시대의 예술
-
최종철;
미야자키 국제대학;
(미술사학보,
v.0,
2020,
pp.223-241)
-
138
-
불멸의 사랑, 미디어의 ‘확장된 영역’을 위하여
-
최종철;
미야자키 국제대학;
(미학예술학연구,
v.57,
2019,
pp.215-245)
-
139
-
세월호의 귀환, 그 이미지가 원하는 것: 미첼의 이미지론을 중심으로
-
최종철;
미야자키 국제대학;
(미학예술학연구,
v.55,
2018,
pp.3-38)
-
140
-
“매체는 기억이다”: 로절린드 크라우스의 매체론에서 기억의 작용
-
최종철;
이화여자대학교;
(현대미술사연구,
v.0,
2024,
pp.37-5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