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51건 중 151건 출력
, 15/16 페이지
-
141
-
고고학적 관점에서 본 발해 건국 집단의 분화․재편과정 검토
-
김진광;
한국학중앙연구원;
(인문과학연구,
v.0,
2018,
pp.187-213)
-
142
-
대외관계기사를 통해 본 당대 발해 인식 검토
-
김진광;
한국학중앙연구원;
(전북사학,
v.0,
2018,
pp.137-160)
-
143
-
중국학계의 발해 고고학 연구 동향 및 쟁점 -2010~2022년 발표 연구논문을 중심으로-
-
김진광;
한국학중앙연구원;
(선사와 고대,
v.0,
2022,
pp.157-184)
-
144
-
조선시대 사서에 담긴 발해 지리 인식의 추이 검토
-
김진광;
한국학중앙연구원;
(백산학보,
v.0,
2022,
pp.257-285)
-
145
-
발해의 “숙신고지”로의 팽창과 상경 방어체계
-
김진광;
한국학중앙연구원;
(인문학연구,
v.0,
2023,
pp.223-253)
-
146
-
조선시대의 발해 지리 인식과 전환 - 지리지의 발해 지리 정보 누락 원인을 중심으로 -
-
김진광;
한국학중앙연구원;
(역사와 세계,
v.57,
2020,
pp.67-100)
-
147
-
철근콘크리트건물 강의동에서의 높이 및 수평 위치에 따른 지자기 분포에 관한 조사 연구
-
공성훈;
김진광;
계명대학교;
계명대학교;
(대한건축학회논문집,
v.20,
2004,
pp.219-226)
-
148
-
대형 위성 탑재용 고해상도 전자 광학 탑재체의 소형화 및 성능 평가
-
김진광;
고형호;
한국항공우주연구원;
충남대학교;
(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,
v.19,
2025,
pp.75-84)
-
149
-
유사등방성 이종재 접합계면 균열의 에너지 해방률에 관한 연구
-
이원욱;
김진광;
조상봉;
경남대학교;
경남대학교;
경남대학교;
(한국정밀공학회지,
v.20,
2003,
pp.21-29)
-
150
-
LiDAR 항공측량에 의한 곶자왈의 분포와 범위 설정
-
김진광;
권준기;
최형순;
중앙항업주식회사;
중앙항업주식회사;
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;
(국토지리학회지,
v.49,
2015,
pp.455-46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