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52건 중 152건 출력
, 15/16 페이지
-
141
-
새로운 1,2,4-Triazolo[4,3-a]quinoxaline 유도체의 합성
-
김호식*;
정원영;
이경환;
;
(대한화학회지,
v.49,
2005,
pp.426-0)
-
142.
- Wilm' Tumor Suppressor Gene 1에 의한 Brain Natriuretic Peptide의 전사 증가
- 고경원
-
가톨릭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31 p., 2009
-
143.
- Nutlin-3에 의한 BCL2A1 발현 유도기전: 미토콘드리아 p53- ROS-ERK1/2 경로를 통한 ELK1의 활성화
- 최현철
-
가톨릭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, 37 p, 2015
-
144.
- Nutlin-3에 의한 HO-1의 발현증가 기전
- 최윤정
-
가톨릭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, 32 p., 2014
-
145.
- 프로스타글란딘 A2에 의한 p53-의존성 세포사멸 유도
- 이수빈
-
가톨릭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, 35 p., 2020
-
146.
- HCT116세포주에서 p53 활성화에 의한 프로스타글란딘A2의 HO-1 발현 증가
- 이혜인
-
가톨릭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, 31 p., 2017
-
147.
- 새로운 헤테로고리 화합물인 1,4-Benzothiazine류의 합성과 토토머화 현상에 관한 연구
- 여윤희
-
대구가톨릭대학교, 국내석사,
170, 2006
-
148.
- Wilms Tumor Gene (WT) 1 Potentiates Nutlin-3a-induced Apoptosis in U20S Cells
- 김윤형
-
가톨릭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, 20 p, 2010
-
149.
- 비동맥염성 앞허혈시신경병증 동물 모델에서 신경교세포 변화
- 박신혜
-
가톨릭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, 36 p, 2013
-
150.
- p53의 미토콘드리아 이동을 통한 nutlin-3의 ERK1/2 활성화
- 이선영
-
가톨릭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, 31 p, 201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