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752건 중 752건 출력
, 15/76 페이지
-
141
-
전통 서당수업의 강과 훈육이 지니는 초등도덕교육적 함의
-
김민재;
;
(초등도덕교육,
v.0,
2014,
pp.29-60)
-
142.
- 서당식 교육모형의 학교교육 적용에 관한 연구
- 김승현
-
한국교원대학교, 국내석사,
ⅵ, 123p., 2003
-
143
-
A Study on the Authority of Managing the Unapproved Educational Facilities - Focused on the Missionary Schools and Confucian Schools -
-
Shin, Kang-Suk;
;
(江原 法學 = Kangwon law review,
v.64,
2021,
pp.107-140)
-
144
-
일제시기 경남지역의 孔敎運動 연구 - 도통사 孔敎支會와 배산서당 朝鮮孔敎會를 중심으로 -
-
이정희;
경상대학교;
(南冥學硏究,
v.0,
2015,
pp.95-136)
-
145
-
(서평) 김경일의 [한국의 근대와 근대성](백산서당, 2003)에 대한 서평
-
박노자;
;
(한국학,
v.26,
2003,
pp.341-347)
-
146.
- 紫巖書堂의 교육과정 연구 : 紫巖目錄을 중심으로
- 이도숙
-
韓國敎員大學校, 국내석사,
ⅵ, 82p., 2002
-
147.
- 문화유산관광지 선택속성의 중요도와 만족도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: 중국 절강성 서당(西塘)을 중심으로
- 니춘지엔
-
호남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v, 74 p., 2013
-
148
-
17~19세기 忠淸道 懷德 飛來書堂契의 운영 변화 양상
-
한미라;
중앙대학교;
(한국학연구,
v.0,
2022,
pp.433-462)
-
149
-
도산서당 연구:교육공간의 구조와 성격
-
박균섭;
경북대학교;
(한국학연구,
v.0,
2011,
pp.263-289)
-
150
-
동족마을의 서당 설립과 근대적 변화
-
이연숙;
충남대학교;
(조선시대사학보,
v.0,
2006,
pp.105-14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