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00건 중 200건 출력
, 15/20 페이지
-
141
-
작문 교육에서의 ‘paragraph'의 번역과 적용에 관한 연구
-
이정찬;
서울대학교;
(작문연구,
v.0,
2012,
pp.49-75)
-
142
-
1930년대 작문교육 연구
-
이정찬;
서울대학교;
(한국언어문학,
v.0,
2008,
pp.181-199)
-
143
-
작문사(作文史)적인 관점에서 본 근대 초기 작문 교재 연구
-
이정찬;
서울대학교;
(한국언어문학,
v.0,
2011,
pp.329-362)
-
144
-
근대적 미문(美文) 인식의 형성과 조선어 글쓰기
-
이정찬;
세종대학교;
(상허학보,
v.42,
2014,
pp.169-202)
-
145
-
논증 교육의 교수 - 학습 방안 연구 - 아리스토텔레스의 『수사학』을 중심으로
-
이정찬;
한국교육과정평가원;
(우리말교육현장연구,
v.10,
2016,
pp.403-426)
-
146
-
근대적 구두법(句讀法)이 읽기와 쓰기에 미친 영향 -근대 전환기를 중심으로
-
이정찬;
서울대학교;
(작문연구,
v.0,
2008,
pp.259-274)
-
147
-
근대적 문종 인식으로서 ‘설명’의 출현과 그 배경- [국민소학독본](1895)과 [신정심상소학](1896)을 중심으로
-
이정찬;
한국교육과정평가원;
(한국근대문학연구,
v.0,
2015,
pp.145-177)
-
148
-
글쓰기 교육을 위한 과학 텍스트 분석 연구
-
이정찬;
서울대학교;
(우리말교육현장연구,
v.7,
2013,
pp.97-127)
-
149
-
근대 전환기 국어(조선어) 독본(讀本)과 근대적 문학 교육의 형성
-
이정찬;
세종대학교;
(문학교육학,
v.0,
2015,
pp.221-248)
-
150
-
『유년필독』의 출간 배경과 논리 ─국가주의 역사관의 성립과정을 중심으로
-
이정찬;
서울대학교;
(국제어문,
v.0,
2013,
pp.73-10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