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34건 중 334건 출력
, 15/34 페이지
-
141
-
한국의 해외입양 정책에 투영된 인권의 공백
-
김재민;
성공회대학교;
(기억과 전망,
v.0,
2016,
pp.282-318)
-
142
-
미혼모의 양육권 보장을 위한 논의 - 입양문제를 중심으로
-
강은화;
;
(한국여성학= Journal of Korean women's studies,
v.22,
2006,
pp.39-59)
-
143
-
2011년 가족법의 개정 동향 - 친권·후견을 중심으로 -
-
김상용;
중앙대학교;
(법조,
v.60,
2011,
pp.5-86)
-
144.
- 한국 입양사업의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
- 이진수
-
성산효도대학원대학교, 국내석사,
105p., 2003
-
145
-
미국의 Second Parent Adoption에 관한 소고
-
차성민;
백승흠;
한남대학교;
청주대학교;
(사회법연구,
v.0,
2023,
pp.433-462)
-
146
-
국외입양인의 뿌리찾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
-
권지성;
안재진;
침례신학대학교 사회복지학과;
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과;
(사회복지연구,
v.41,
2010,
pp.369-393)
-
147.
- 한국의 해외입양 정책 연구 : 국가기록물과 언론보도를 중심으로
- 김재민
-
성공회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vi, 233 p., 2016
-
148.
- 한국 해외입양과 친생모 모성, 1966~1992
- 신필식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xxii, 535 p., 2020
-
149
-
러시아의 국제 입양 송출 추이와 요인: 이주 체계 접근법을 중심으로
-
이종원;
최우익;
고려대학교;
한국외국어대학교;
(러시아연구,
v.29,
2019,
pp.181-215)
-
150
-
청대(淸代) 복건지역(福建地域)의 아동 보호 정책과 사회 수용- 육영당(育嬰堂)의 입양 정책 사례를 중심으로 -
-
유채원;
조선대학교;
(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,
v.0,
2022,
pp.117-15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