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63건 중 163건 출력
, 15/17 페이지
-
141
-
북한미술 연구 동향과 과제
-
신수경;
;
(인문과학연구,
v.0,
2020,
pp.189-219)
-
142
-
당(黨)문학의 기원 - ‘당-국가(party-state) 체제’와 ‘응향(凝香) 사건’
-
남원진;
건국대학교;
(현대문학의 연구,
v.0,
2025,
pp.185-223)
-
143.
- 유아기 어머니의 취업 유무에 따른 아버지 양육태도와 양육스트레스 비교 연구
- 박민주
-
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77 장, 2014
-
144
-
1960년 전후 재일조선인 미술가의 활동 —총련 기관지(紙)를 중심으로—
-
오은영;
제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;
(민족문화연구,
v.0,
2023,
pp.435-458)
-
145.
- 아버지의 역할 교육 프로그램 요구도에 관한 연구 :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대상으로
- 정회연
-
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v, 55장, 2005
-
146
-
18·19세기 동래 왜관 수출화의 제작과 유통: 虎圖와 鷹圖를 중심으로
-
박성희;
한국미술연구소;
(美術史論壇,
v.0,
2010,
pp.79-102)
-
147
-
조선 후기 무예서에 나타난 쌍수도 도판 변화와 그 의미
-
허대영;
박금수;
서울대학교;
서울대학교;
(한국학,
v.47,
2024,
pp.131-168)
-
148.
- 「朝鮮美術展覽會」의 화조화 연구 : '朝鮮人 作品'을 中心으로
- 황정현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, 117 p, 2005
-
149
-
과거를 통해 본 화가의 미래: 김용준의 조선시대 화가론
-
유재빈;
홍익대학교;
(미술사학보,
v.0,
2021,
pp.241-267)
-
150.
- 북한 IT 제품의 UX 디자인 평가: 주체미술과 글로벌 트렌드의 영향을 중심으로
- 김성우
-
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, 국내박사,
viii, 199p., 202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