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6,601건 중 1,000건 출력
, 15/100 페이지
-
141
-
이주시대, 언어정책과 언어교육이 나아갈 길 -수레쉬 카나가라자 외, 『이주시대의 언어』(가갸날, 2022년)-
-
안주현;
경북대학교;
(어문론총,
v.0,
2023,
pp.311-319)
-
142.
- '취침 전 책 읽어주기 활동'과 어머니-유아의 言語的 相互作用이 유아의 文解 發達에 미치는 影響
- 김영애
-
全南大學校 大學院, 국내박사,
vii,155p., 1998
-
143.
- 집중적 오류 정정과 언어 분석 능력이 한국인 EFL 대학생들의 영어 관사 습득에 주는 효과
- 최수아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x, 211 p., 2009
-
144
-
경제 민주화 담론의 몰락과 노동자 정치 언어의 파국: 1960년대 민주사회주의 담론의 정치적 의미
-
박대현;
경성대학교;
(코기토,
v.79,
2016,
pp.251-291)
-
145
-
Understanding the Speech Act Theory as Ordinary Linguistic School and Christian (Biblical) Ethics as God’s Performative Action : A Hermeneutic Methodology on the Bible Ethics
-
Cho, Anna;
;
(한국기독교 신학논총 = Korea journal of christian studies,
v.110,
2018,
pp.277-299)
-
146
-
「旧植民地」において日本人の言語選択がドメインによってどう左右されたか ―満洲、パラオ、マリアナ諸島を例として―
-
甲賀真広(코가마사히로);
日本学術振興会特別研究員PD(国立国語研究所);
(일어일문학,
v.0,
2023,
pp.115-134)
-
147
-
중국 조선족 아동의 가정 언어환경과 한국어-중국어 이중언어 수준 - 조선족자치주 연길과 집거촌 심양을 중심으로
-
이귀옥;
이혜련;
경성대 생활경영학과;
경희대 생활과학연구소;
(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자료집,
v.2005,
2005,
pp.210-211)
-
148
-
信州大学病院人工内耳センターにおける早期ハビリテーション<br>-前言語聴覚学習プログラムの実施とその評価-
-
;
;
(AUDIOLOGY JAPAN,
v.52,
2009,
pp.309-310)
-
149
-
미디어 이용은 영유아 언어발달을 촉진하는가?: 텔레비전, 스마트폰, 책 읽어 주기를 중심으로
-
배소영;
정연구;
한림대학교;
한림대학교;
(한국방송학보,
v.29,
2015,
pp.67-93)
-
150
-
日・韓両言語における主観述語について-「ている」「がる」を中心にして-
-
황미옥;
인천대학교;
(일본연구,
v.0,
2008,
pp.457-47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