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159건 중 1,000건 출력
, 16/100 페이지
-
151
-
1950~60년대 북한의 민족 악기 개량과 민족 관현악 편성
-
배인교;
경인교육대학교 경인교육대학교한국공연예술연구소;
(국악원논문집,
v.0,
2019,
pp.157-178)
-
152.
- 관현악전공 대학생의 무기력과 자아존중감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
- 사천추
-
세한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, 2023
-
153.
- 키강첸(陈其钢)의 관현악 조곡「접연화」(蝶戀花, Iris Devoilee)에 관한 연구
- 이준위
-
동의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xii, 165 p., 2022
-
154.
- G.Mahler의 “Des Knaben Wunderhorn”에 나타난 관현악적 특징연구
- 이상엽
-
계명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,54 p., 1997
-
155.
- RICHARD STRAUSS 의 [VIER LETZTE LIEDER]에 대한 전반적인 고찰과 관현악 부분의 시적 표현 조명
- 윤지영
-
暻園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64p., 2007
-
156
-
힌데미트의 ⟨관현악을 위한 협주곡 Op. 38⟩에서 “협주곡”의 의미
-
김경은;
경북대학교;
(음악이론연구,
v.36,
2021,
pp.39-62)
-
157.
- Elliott의 음악하기(Musicing)를 적용한 초등 관현악 음악 감상 지도 방안
- 정윤미
-
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, 국내석사,
, 2018
-
158
-
영화 ⟨나홀로 집에⟩의 주제곡 분석연구: 관현악 기법을 중심으로
-
한경훈;
경희대학교;
(음악과 문화,
v.0,
2006,
pp.47-74)
-
159.
- Arts PROPEL을 적용한 관현악합주수업이 중학생의 기악연습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
- 여성혜
-
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x, 81 p., 2010
-
160.
- 작곡가 주용(周龍)의 관현악작품 : '대곡(大曲)', '당시사수(唐詩四首)'와 '1911 서곡(序曲)'을 중심으로
- WANG YANBING
-
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, 201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