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57건 중 257건 출력
, 16/26 페이지
-
151
-
인간 시각의 생리학적 측면에서의 관찰을 통한 능동시각 시스템 개발
-
유연걸;
김도형;
안광호;
정명진;
한국과학기술원, 전자전산학과;
한국과학기술원, 전자전산학과;
한국과학기술원, 전자전산학과;
한국과학기술원, 전자전산학과;
(대한전기학회 2006년도 제37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D,
v.2006,
2006,
pp.1979-1980)
-
152
-
출력 가변형 수소 저온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박막 공기극을 위한 알루미나 보호제의 원자층 증착 사이클 수
-
지상훈;
김원재;
박나리;
김미선;
정진홍;
안광호;
강성원;
서종수;
서한길;
정우철;
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환경연구본부;
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환경연구본부;
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환경연구본부;
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건설환경공학전공;
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환경연구본부;
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환경연구본부;
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환경연구본부;
단국대학교 신소재공학과;
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수소연구단;
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;
(한국수소 및 신에너지학회 논문집 = Journal of hydrogen and new energy,
v.35,
2024,
pp.729-735)
-
153.
- 소매업체의 서비스품질과 식품안전성이 점포이미지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
- 황재규
-
숭실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xii, 134 p., 2011
-
154
-
과학축전 활동 경험에 대한 부스 운영 및 참여 관람 학생의 인식
-
박은지;
이선경;
김기상;
김찬종;
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;
서울대학교 BK21 미래사회과학교육연구사업단;
한국과학창의재단;
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;
(한국지구과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,
v.31,
2010,
pp.772-784)
-
155
-
李圭景의 ‘姓氏譜牒辨證說’에 나오는 중국 譜牒의 종류와 성격
-
안광호;
한국고전번역원;
(역사학보,
v.0,
2016,
pp.187-240)
-
156
-
韓國 本貫制度의 起源과 ‘土姓 分定’ 說에 관한 검토 -‘土姓 分定’ 說에서 언급된 『世宗實錄地理志』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-
-
안광호;
한국고전번역원;
(전북사학,
v.0,
2014,
pp.217-248)
-
157
-
朝鮮 後期 品官 집안과 그들의 삶 - 전라도 萬頃縣의 豊川任氏와 興陽縣의 水原白氏를 중심으로 -
-
안광호;
한국고전번역원;
(古文書硏究,
v.48,
2016,
pp.191-225)
-
158
-
宗班制 운영을 통해 본 朝鮮 身分 社會의 한 성격 -1908(隆熙 2)년에 간행된 『璿源系譜紀略』을 중심으로-
-
안광호;
한국고전번역원;
(전북사학,
v.0,
2012,
pp.117-137)
-
159
-
中國의 郡望制度와 韓國의 本貫制度 비교 - 중국의 淸河崔氏와 한국의 南陽洪氏를 중심으로 -
-
안광호;
한국고전번역원;
(역사와경계,
v.0,
2016,
pp.75-125)
-
160
-
전통기 韓·中 姓氏制度를 바라보는 두 知識人의 시각- 宋나라 시대 鄭樵와 朝鮮 시대 柳馨遠을 중심으로 -
-
안광호;
한국고전번역원;
(사학연구,
v.0,
2014,
pp.125-16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