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402건 중 402건 출력
, 16/41 페이지
-
151.
- 훈민정음의 제자 원리를 활용하는 한국어 자음 지도 방안
- Ji Meng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75 p., 2011
-
152.
- 국어 움라우트 현상의 적용 양상에 관한 연구 : 7차 교육과정을 거친 중학생과 대학생을 중심으로
- 김경자
-
청주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74, 2009
-
153
-
전주대사습놀이 콘텐츠 전략 연구 +
-
김용호;
정읍시립국악단 단장;
(무용역사기록학,
v.72,
2024,
pp.69-70)
-
154
-
Phonetic Alternation between [k] and [s] in English
-
박미숙;
목원대학교;
(영어영문학,
v.16,
2011,
pp.267-280)
-
155.
- 자음강도이론과 영어자음동화
- 문순단
-
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, 국내석사,
iv, 60p., 1990
-
156
-
음운 계층에 있어서 운율정보
-
Kim Chang-Kyum;
;
(새한영어영문학 = The New Korean Journal of English Language & Literature,
v.44,
2002,
pp.313-336)
-
157.
- 초등학교 영어와 인터넷 동화영어의 후어휘 음운현상에 대한 연계 연구
- 김명옥
-
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i, 131p., 2004
-
158.
- 한국인 영어학습자의 nl, ln 설측음화 및 비음화 영어전이 양상 : 연령과 성별을 기준으로
- 이연경
-
영남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, 2012
-
159.
- Postlexical phonology in Korean
- 최은영
-
Hanshin Publishing Co., 국외박사,
348 p., 1991
-
160.
- The social stratification of umlaut in Korean
- 안정근
-
University of Texas at Austin, 국외박사,
212 p., 198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