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96건 중 196건 출력
, 17/20 페이지
-
161
-
분만과 연관된 신생아 경막외 혈종의 임상적 의의
-
이동준;
이연경;
고선영;
신손문;
한병희;
단국대학교;
단국대학교;
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제일병원 소아청소년과;
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제일병원 소아청소년과;
단국대학교;
(Perinatology,
v.27,
2016,
pp.103-109)
-
162
-
신생아 황달에서 광선치료 동안에 경피적 빌리루빈 측정기의 유용성
-
이용권;
김경아;
고선영;
이연경;
신손문;
성균관대학교;
성균관대학교;
성균관대학교;
성균관대학교;
관동대학교;
(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,
v.49,
2006,
pp.1296-1300)
-
163
-
Pai 증후군 1례
-
홍미;
남승우;
이연경;
고선영;
신손문;
관동대학교;
관동대학교;
관동대학교;
관동대학교;
관동대학교;
(Perinatology,
v.25,
2014,
pp.17-21)
-
164
-
항글로블린법을 이용한 Panel Reactive Antibody 검사에서 교차반응군특이성의 동정 경험
-
손용학;
차충환;
김명희;
고선영;
오흥범;
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진단검사의학과;
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진단검사의학과;
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진단검사의학과;
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진단검사의학과;
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진단검사의학과;
(Annals of Laboratory Medicine,
v.28,
2008,
pp.362-370)
-
165
-
형제에서 발생한 항-M 항체에 의한 신생아 용혈성 질환
-
안설희;
이연경;
고선영;
신손문;
조동희;
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제일병원 소아청소년과;
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제일병원 소아청소년과;
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제일병원 소아청소년과;
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제일병원 소아청소년과;
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제일병원 진단검사의학과;
(Perinatology,
v.26,
2015,
pp.260-264)
-
166
-
Pseudohypoaldosteronism in a premature neonate with severe polyhydramnios in utero
-
안소윤;
신손문;
김경아;
이연경;
고선영;
관동대;
관동대학교;
관동대학교;
관동대;
관동대학교;
(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,
v.52,
2009,
pp.376-379)
-
167
-
태변 흡인 증후군의 임상적 고찰과 기관 내 삽관 후 조기 태변 흡인이 예후에 미치는 영향
-
윤용호;
김경아;
고선영;
이연경;
신손문;
관동대;
관동대학교;
관동대학교;
관동대;
관동대학교;
(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,
v.50,
2007,
pp.959-964)
-
168
-
극소저출생체중아의 따라잡기 성장 및 발달평가
-
마태호;
김경아;
고선영;
이연경;
신손문;
성균관대학교;
성균관대학교;
성균관대학교;
성균관대학교;
관동대학교;
(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,
v.49,
2006,
pp.29-33)
-
169
-
Maternal food restrictions during breastfeeding
-
정고운;
박성원;
이연경;
고선영;
신손문;
단국대학교;
단국대학교;
단국대학교;
단국대학교;
단국대학교;
(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,
v.60,
2017,
pp.70-76)
-
170
-
Use of child safety seats during transportation of newborns
-
김선혁;
박성원;
이연경;
고선영;
신순문;
단국대학교;
단국대학교;
단국대학교;
단국대학교;
단국대학교;
(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,
v.61,
2018,
pp.253-25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