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0,477건 중 1,000건 출력
, 17/100 페이지
-
161
-
고용할당제:실질적 평등고용 촉진 조치
-
김선욱;
이화여대 법학과;
(大學敎育 = Higher education,
v.79,
1996,
pp.92-98)
-
162
-
중증장애인의 고용 활성화를 위한 맞춤고용 지원 방안 탐색
-
김기룡;
중부대학교;
(지체.중복.건강장애연구,
v.65,
2022,
pp.281-312)
-
163
-
적극적고용개선조치(AA) 제도변화의 여성고용 효과
-
이선행;
김난주;
홍지현;
심혜빈;
한국여성정책연구원;
한국여성정책연구원;
한국여성정책연구원;
한국여성정책연구원;
(여성연구,
v.109,
2021,
pp.133-165)
-
164.
- 의무고용사업체의 장애인 고용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
- 안선영
-
부산대학교, 국내박사,
iv, 132 p., 2012
-
165
-
고용 불안에 관한 미국 커리어 자기계발 담론의 고찰
-
Joo, Jeong-Suk;
중원대학교 국제통상학과;
(융합정보논문지 =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,
v.9,
2019,
pp.134-140)
-
166
-
불완전고용의 선행요인 및 불완전고용이 조직 적응에 미치는 영향
-
노연희;
김명언;
연세대학교 심리학과;
서울대학교 심리학과;
(한국심리학회지 :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. 문화 및 사회문제,
v.17,
2011,
pp.19-49)
-
167
-
A Study on the Types of Employers’ Perceptions for Disabilities’ Employment
-
Park, Ji Young;
Park, Im Su;
;
(주관성연구 : Q방법론 및 이론,
v.70,
2025,
pp.49-69)
-
168
-
임금(賃金) 고용정책(雇傭政策)의 운영방향(運營方向)
-
유경준;
한국개발연구원;
(勞動經濟論集 = Korean journal of labor economics,
v.23,
2000,
pp.167-190)
-
169
-
임금근로장애인의 ‘고용의 질’ 개념 및 결정요인
-
변경희;
한신대학교;
(장애와 고용,
v.20,
2010,
pp.189-212)
-
170.
- 고용 상태와 치과 미충족 의료의 관련성
- 방윤아
-
충남대학교 보건대학원, 국내석사,
31 p., 202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