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31건 중 331건 출력
, 17/34 페이지
-
161
-
이왕직아악부의 궁내성 출장과 궁중음악의 변화
-
이수정;
한국학중앙연구원 전통한국연구소;
(한국음악사학보,
v.0,
2023,
pp.135-170)
-
162.
- 우리나라 노리개에 關한 硏究
- 이세진
-
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, 국내석사,
viii, 81p., 1982
-
163
-
정악에 나타난 삶의 의미
-
이상규;
;
(국악과 교육 = Journal of the Korean music and education,
v.30,
2010,
pp.117-130)
-
164
-
한국 전통 학춤(鶴舞)의 연구현황 분석
-
최성희;
전북대학교;
(영남춤학회誌,
v.10,
2022,
pp.225-250)
-
165.
- 한국 무형문화재 다례의 복원과 전승
- 김시현
-
목포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ii, 99 p., 2019
-
166
-
문묘일무의 춤사위 ‘진퇴’에 담긴 교육철학적 가치
-
임학선;
김기화;
성균관대학교;
대전대학교;
(예술과 과학기술,
v.7,
2011,
pp.77-96)
-
167
-
허난설헌 ⟨궁사(宮詞)⟩의 정서 표출 양상 고찰
-
김성문;
중앙대학교;
(온지논총,
v.0,
2023,
pp.53-77)
-
168.
- 고려속요와 돈황곡자사의 애정형상 비교
- 金麗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92 p., 2020
-
169.
- 발레예술감상의 사적배경에 관한 연구
- 김화인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, 47p., 1987
-
170.
- 17∼18세기 通信使에 대한 日本의 儀式茶禮 硏究
- 박정희
-
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iv, 264 p., 2009