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,506건 중 1,000건 출력
, 17/100 페이지
-
161
-
1930년대 조선성악연구회(朝鮮聲樂硏究會)의 창극적 상상력과 식민성
-
김향;
호서대학교;
(공연문화연구,
v.0,
2019,
pp.357-392)
-
162.
- 음악대학 피아노, 관현악, 성악전공 학생들의 진로성숙도 조사
- 고라희
-
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, 2016
-
163
-
성악전공 대학생과 일반 대학생의 /a/ 연장발성 시 음성특성 비교
-
유재연;
;
(언어청각장애연구=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,
v.7,
2002,
pp.125-133)
-
164.
- 중국 광시 지역 고등학교 음악 전공 학생의 교재 분석연구 : 성악 전공을 중심으로
- 리팅팅
-
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87, 2022
-
165
-
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Identity Confusion of Classical Vocal Majors
-
Cha, Hyun Jin;
;
(청소년학연구,
v.30,
2023,
pp.71-101)
-
166
-
성악텍스트를 통해 본 한인 이주작곡가 ‘세대’와 그 후경(後景, 그 너머)
-
윤신향;
Humboldt - Univ. zu Berlin;
(이화음악논집,
v.22,
2018,
pp.181-214)
-
167.
- 파니 멘델스존 헨젤의 성악곡 『Sechs Lieder Op.1』 분석 연구
- 정가용
-
한양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, 59 p., 2017
-
168
-
성악가의 성별 및 성종에 따른 발성적 특징과 차이
-
남도현;
김화숙;
연세대학교 의과대학;
수원대학교 음악대학;
(말소리와 음성과학 =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,
v.1,
2009,
pp.163-171)
-
169
-
荀子에서 欲望의 규제와 보장
-
김철운;
;
(哲學,
v.68,
2001,
pp.57-79)
-
170
-
성악 연주 불안증 대응 전략 고찰
-
고선미;
대구교육대학교;
(이화음악논집,
v.17,
2013,
pp.27-6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