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57건 중 257건 출력
, 17/26 페이지
-
161
-
宋代『紹興十八年同年小錄』에 나오는 本貫의 의미 - 比較史의 觀點에서 한국의 本貫制度를 바라보다 -
-
안광호;
한국고전번역원;
(사림,
v.0,
2016,
pp.127-162)
-
162
-
朝鮮後期 求禮 五美洞 文化柳氏의 移住와 定着 過程
-
안광호;
한국정신문화연구원;
(조선시대사학보,
v.0,
2004,
pp.167-191)
-
163
-
韓國 本貫制度의 起源과 ‘土姓 分定’ 說에 관한 검토 -‘土姓 分定’ 說에서 언급된 중국 역사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-
-
안광호;
한국고전번역원;
(전북사학,
v.0,
2014,
pp.161-186)
-
164
-
傳統期 韓·中 地方志에 나오는 本貫 기록 비교― 江西省 吉安府 『吉安府志』와 全羅道 南原府 『龍城續誌』를 중심으로
-
안광호;
중국 남개대;
(대동문화연구,
v.0,
2013,
pp.225-260)
-
165
-
중국의 蘇州碼子와 開城商人의 胡算 비교
-
안광호;
안양대학교;
(민족문화,
v.69,
2025,
pp.281-319)
-
166
-
淸나라 시기 方東樹(1772~1851)의 시각을 통해 본 중국 郡望制度의 한 성격
-
안광호;
한국고전번역원;
(명청사연구,
v.0,
2017,
pp.39-67)
-
167
-
한국고전번역사의 관점에서 바라 본 인공지능 고전번역기 출현의 의미
-
안광호;
한국고전번역원;
(고전과 해석,
v.27,
2019,
pp.247-289)
-
168
-
현대 漢字語 辭典에 나오는 ‘郡望’의 의미 검토
-
안광호;
한국고전번역원;
(동양학,
v.0,
2017,
pp.21-45)
-
169
-
한국에서 論語學의 생성과 발전에 관한 고찰
-
안광호;
한국고전번역원;
(순천향 인문과학논총,
v., 39,
2020,
pp.139-167)
-
170
-
디지털 시대 중국 내 고전 DB 구축 현황과 그 전망
-
안광호;
한국고전번역원;
(민족문화,
v.51,
2018,
pp.19-7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