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05건 중 305건 출력
, 17/31 페이지
-
161
-
민원서류로 본 공공언어의 인식 연구
-
이미향;
영남대학교;
(어문론총,
v.0,
2013,
pp.211-232)
-
162
-
청자의 듣기 과정에서 본 한국어 듣기 교수-학습 연구
-
이미향;
영남대학교;
(어문론총,
v.0,
2011,
pp.135-160)
-
163
-
한국어 언어문화교육에서의사회적 상호작용 고찰 - 참여자 인식과 대인 관계 형성을 중심으로 -
-
이미향;
영남대학교;
(한국언어문화학,
v.9,
2012,
pp.235-263)
-
164
-
한국어 교재 대화문에서 대화 참여자의 상호작용성 연구
-
이미향;
영남대학교;
(화법연구,
v.0,
2016,
pp.213-246)
-
165
-
꽃과 여성의 상징성 연구 -신화와 예술을 중심으로-
-
이미향;
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;
(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,
v.52,
2025,
pp.63-91)
-
166
-
박태원 역사 소설의 특징 - 해방 직후 작품을 중심으로
-
이미향;
숙명여자대학교;
(상허학보,
v.2,
1995,
pp.247-282)
-
167
-
온라인 중국어 학습사전의 참고어 정보 설정 연구 - 하위 범주와 제시 방식을 중심으로
-
이미향;
국립공주대학교;
(중국언어연구,
v.0,
2020,
pp.421-448)
-
168
-
중국어 사전 평가를 위한 평가 문항 제작 연구 ᐨ 온라인 중국어 학습사전의 미시구조 평가를 중심으로 ᐨ
-
이미향;
공주대학교;
(한국사전학,
v.0,
2019,
pp.90-115)
-
169
-
의사소통의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본 한국어 교재의 학습활동 고찰
-
이미향;
영남대학교;
(한국언어문화학,
v.14,
2017,
pp.255-282)
-
170
-
이민자 대상 특수목적 한국어 교재를 위한 언어문화 통합 교육 연구 -독일 사회통합프로그램 교재를 대상으로-
-
이미향;
영남대학교;
(어문론총,
v.0,
2022,
pp.71-9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