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6,586건 중 1,000건 출력
, 18/100 페이지
-
171
-
예비 국어 교사의 수행평가 설계 양상 분석 -2022 개정 교육과정 ⟨독서와 작문⟩ 평가계획서 분석을 중심으로-
-
김형성;
한국교원대학교;
(청람어문교육,
v.0,
2024,
pp.43-85)
-
172.
- 상위인지를 활용한 쓰기 자기 평가 도구 개발 연구
- 김수현
-
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i, 89 p., 2010
-
173
-
Validation of a tool evaluating MOOCs for higher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service
-
Sung-Wan, Kim;
Center for Teaching & Learning, Korea Nazarene University;
(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=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,
v.28,
2023,
pp.177-187)
-
174
-
중학교 쓰기 학습에서의 루브릭 활용에 대한 질적 연구
-
김정덕;
김명희;
한양대학교;
한양대학교;
(한국교육,
v.38,
2011,
pp.77-105)
-
175
-
예비교사의 온라인 교육 도구 활용 인식에 대한 토픽 모델링 분석
-
이재무;
김선희;
부산교육대학교;
영남대학교 미래교육연구소;
(정보교육학회논문지,
v.29,
2025,
pp.217-225)
-
176
-
유아를 위한 디지털 콘텐츠 평가도구 타당화
-
조운주;
최일선;
한국교통대학교;
경인교육대학교;
(교육문화연구,
v.29,
2023,
pp.539-559)
-
177
-
실시간 원격교육 강의평가 문항 개발 연구 - A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-
-
한송이;
신윤미;
임은선;
동국대학교;
이화여자대학교;
서울대학교;
(문화와융합,
v.44,
2022,
pp.137-154)
-
178
-
Rasch 모형과 요인분석을 활용한 대학생 토론능력 평가도구 개발과 타당화 연구
-
이연주;
임경수;
건국대학교;
건국대학교;
(문화와융합,
v.42,
2020,
pp.833-856)
-
179
-
KOICA 학위연수사업 종료 평가 타당화 연구
-
김지인;
신민경;
서울대학교;
서울대학교;
(교육문화연구,
v.30,
2024,
pp.27-49)
-
180
-
성인학습자 관점을 반영한 사이버대학 교육프로그램 평가준거 연구
-
최종철;
김영화;
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;
홍익대학교;
(평생교육학연구,
v.13,
2007,
pp.187-21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