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16건 중 216건 출력
, 18/22 페이지
-
171
-
화수분설화의 한일 비교
-
박연숙;
계명대학교;
(일본어문학,
v.0,
2013,
pp.299-332)
-
172
-
⟨광부화가들⟩과 경험으로서의 예술 -존 듀이(John Dewey)철학의 경험 개념에 근거하여
-
박연숙;
숭실대학교;
(인문과학연구,
v.0,
2014,
pp.323-342)
-
173
-
『玉 木』の方法と意圖
-
박연숙;
계명대;
(일어일문학연구,
v.49,
2004,
pp.193-216)
-
174
-
컨셉츄얼 소프트웨어 아트에서 예술적 상호작용성의 역할
-
박연숙;
경북대학교;
(디자인지식저널,
v.0,
2015,
pp.219-233)
-
175
-
상호작용적 작품에서 놀이속성: 모리스 베나윤(Maurice Benayoun)의 작품을 중심으로
-
박연숙;
경북대학교;
(미술이론과 현장,
v.0,
2013,
pp.83-109)
-
176
-
뉴미디어아트의 유희적 미경험: 모리스 베나윤의 작품을 중심으로
-
박연숙;
경북대학교;
(서양미술사학회 논문집,
v.0,
2008,
pp.61-83)
-
177
-
⟨바닷물이 짠 이유⟩ 설화의 한일 비교
-
박연숙;
계명대학교;
(구비문학연구,
v.0,
2014,
pp.209-250)
-
178
-
상호작용성(Interactivity)과 리좀(Rhizome)적 작품체계: 디지털 이미지를 중심으로
-
박연숙;
경북대학교;
(미술이론과 현장,
v.0,
2010,
pp.33-57)
-
179
-
‘콩쥐팥쥐’와 ‘고메후쿠 아와후쿠(米福粟福)’의 비교 연구
-
박연숙;
계명대학교 외래강사;
(일본문화연구,
v.0,
2007,
pp.209-249)
-
180
-
‘철학함’으로서 인문학 - 총체적 학문으로서의 인문학을 위한 단초 -
-
박연숙;
숭실대학교;
(인문연구,
v.0,
2016,
pp.241-26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