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43건 중 243건 출력
, 18/25 페이지
-
171
-
전통 시대 한문 학습법에 관한 일고찰 -영조의 장헌세자 교육을 중심으로-
-
신영주;
성신여자대학교;
(漢文敎育論集,
v.0,
2008,
pp.245-275)
-
172
-
문목과 별지를 활용한 퇴계와 그 문도들의 고전 연구
-
신영주;
성신여자대학교;
(漢文敎育論集,
v.29,
2007,
pp.309-345)
-
173
-
『한문토석』에 나타난 윤근수와 최립의 현토 담론에 관하여
-
신영주;
성신여자대학교;
(漢文學報,
v.20,
2009,
pp.225-250)
-
174
-
월사 이정구의 갑계 조직과 『갑계첩』
-
신영주;
성신여자대학교;
(漢文學報,
v.19,
2008,
pp.215-241)
-
175
-
朱之蕃의 조선 사행과 문예교류에 관한 일고
-
신영주;
퇴계학연구원;
(漢文學報,
v.16,
2007,
pp.37-63)
-
176
-
조선후기 董其昌 서화 저작과 이론의 수용에 관한 고찰
-
신영주;
성신여자대학교;
(한문학논집(漢文學論集),
v.44,
2016,
pp.221-245)
-
177
-
17세기 문예의 새로운 경향과 낭선군 이우
-
신영주;
퇴계학연구원;
(漢文敎育論集,
v.27,
2006,
pp.541-575)
-
178
-
⟨이운지⟩를 통해 본 조선 후기 사대부가의 생활 모습
-
신영주;
퇴계학연구원;
(漢文學報,
v.13,
2005,
pp.387-414)
-
179
-
16세기 후반 시대상의 전변과 일탈의 문예미학 — 許筠의 前五子를 중심으로 —
-
신영주;
성신여자대학교;
(漢文古典硏究,
v.27,
2013,
pp.37-67)
-
180
-
梅山 洪直弼의 儒道 존숭과 警世의 시문 창작에 관한 고찰
-
신영주;
성신여자대학교;
(漢文古典硏究,
v.30,
2015,
pp.273-30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