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316건 중 1,000건 출력
, 18/100 페이지
-
171
-
경기도 수리산 군포시험림 식물군집구조
-
이경재;
민성환;
한봉호;
김호식;
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;
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;
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;
경기산림환경연구소;
(한국환경생태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,
v.11,
1997,
pp.290-309)
-
172
-
설악산국립공원 자양천지역 소나무림 군집구조 및 생육거리
-
이경재;
한봉호;
이옥하;
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;
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;
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;
(한국환경생태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,
v.11,
1998,
pp.493-505)
-
173
-
농어촌지역의 생태관광지 육성을 위한 계획모형(I) - 전남 완도군 정도리지역에서의 사례연구 -
-
유기준;
이경재;
오구균;
서울시립대학교 환경생태연구실;
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;
호남대학교 조경학과;
(한국환경생태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,
v.12,
1998,
pp.102-114)
-
174
-
인공위성 고도계 자료(1993-2017년)를 이용하여 탐지‧추적‧분류한 동해 중규모 소용돌이의 통계적 특성
-
이경재;
남성현;
김영규;
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;
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;
국방과학연구소;
(바다 : 한국해양학회지 = The sea :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,
v.24,
2019,
pp.267-281)
-
175
-
환경오염(環境汚染)이 오동나무인공림(人工林)의 물질생산(物質生産)에 미치는 영향(影響)에 관한 연구(硏究)
-
김태욱;
이경재;
박인협;
서울대학교 농과대학;
영남대학교 농축대학;
서울대학교 농과대학;
(韓國林學會誌 =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,
v.58,
1982,
pp.8-16)
-
176
-
도시하천의 횡단구조에 따른 식생분포특성 연구 -서울시 도림천, 방학천, 성내천, 양재천을 사례로-
-
배정희;
이경재;
한봉호;
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;
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;
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;
(한국환경생태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,
v.22,
2008,
pp.268-279)
-
177
-
중부지방 비목나무 자생림의 식물군집구조 분석(I)
-
이동철;
심경구;
최송현;
이경재;
조경공사업협의회;
성균관대학교 조경학과;
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;
서울시립대학교 문리과대학 조경학과;
(한국조경학회지 =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,
v.22,
1994,
pp.133-157)
-
178
-
마산지역의 환경보전을 위한 식물생태계의 기초연구
-
이경재;
이명우;
서울시립대학 조경학과;
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부설 환경계획연구소;
(한국조경학회지 =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,
v.13,
1985,
pp.79-94)
-
179
-
도시환경에서 가중나무 종자의 확산 및 발아 분포
-
조치웅;
이경재;
삼육대학교 원예학과;
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;
(한국환경생태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,
v.16,
2002,
pp.87-93)
-
180
-
오동도(梧桐島)에서의 이용객(利用客)에 의한 식생구조(植生構造) 변화(變化) 및 이용자(利用者) 심리분석(心理分析)에 관(關)한 연구
-
박명규;
이경재;
박인협;
순천대학;
서울시립대학교 문리과대학;
순천대학;
(韓國林學會誌 =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,
v.76,
1987,
pp.397-40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