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852건 중 852건 출력
, 18/86 페이지
-
171
-
억간산(抑肝散)과 억간산가미방(抑肝散加味方)의 진경(鎭痙) 및 진통(鎭痛) 효과(效果)에 관(關)한 실험적(實驗的) 연구(硏究)
-
현우천;
이상룡;
;
(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,
v.5,
1994,
pp.69-79)
-
172.
- 朝鮮後期 實學과 性理學이 眞景山水畵에 끼친 影響
- 진정훈
-
成均館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96p., 1999
-
173
-
『虛舟府君山水遺帖』: 傳 李宗岳(1726-1773)의 眞景山水 畵帖 簡介
-
李成美;
;
(藏書閣 = Journal of Jangseogak archives,
v.3,
2000,
pp.215-218)
-
174
-
종교와 문학을 통한 도통진경 사상의 고찰
-
양무목;
경기대학교;
(대순사상논총,
v.5,
1998,
pp.183-263)
-
175
-
A Soldier’s Memory of War: A study on Chinese poetry in Jin Kyungmun’s 『Gisaji』
-
Tian, Juan;
;
(語文論集 = The journal of language & literature,
v.94,
2023,
pp.141-170)
-
176.
- 小亭 卞寬植의 眞景山水畵에 관한 硏究 : 金剛山圖를 중심으로
- 임원빈
-
檀國大學校, 국내석사,
ⅲ, 53장, 1997
-
177
-
강증산은 한국에 강세한 상제(上帝) : 도통진경 후천세상을 위하여 천지공사
-
이현주;
;
(정경뉴스= Politic & economic news,
v.89,
2007,
pp.228-229)
-
178
-
정선(鄭敾)의 《신묘년풍악도첩(辛卯年楓嶽圖帖)》: 1711년 금강산 여행과 진경산수화의 형성
-
이경화;
서울대학교;
(미술사와 시각문화,
v.0,
2012,
pp.192-225)
-
179
-
Etomidoline과 Nefopam<TEX>$ cdot$</TEX>HCl 병용투여시의 진경 및 진통 효과에 관한 연구
-
허인회;
안형수;
중앙대학교 약학대학;
중앙대학교 약학대학;
(약학회지 = Yakhak hoeji,
v.25,
1981,
pp.27-35)
-
180
-
전경에 나타난 도통진경: 원리와 조건을 중심으로
-
고남식;
대진대학교;
(대순사상논총,
v.5,
1998,
pp.615-65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