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95건 중 195건 출력
, 19/20 페이지
-
181.
- '혁신적 시민성'의 의미형성과 제도화 - '희망제작소'와 '서울혁신파크'를 중심으로 -
- 김은지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ⅷ, 152, 2017
-
182
-
사회적경제기본법 제정 표류 이유: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으로 분석
-
염찬희;
성공회대학교;
(지역발전연구,
v.30,
2021,
pp.129-164)
-
183
-
다중흐름모형을 적용한 지방자치단체 정책과정 연구: 2012년 서울시 공공부문 비정규직 대책
-
정민경;
이병량;
경기대학교 행정학과;
경기대학교;
(지방행정연구,
v.28,
2014,
pp.51-80)
-
184
-
안철수 현상, 그리고 희망 혹은 희망고문 - 상식, 정의, 공유의 관점에서 본 2012년의 한국 정치
-
김정훈;
;
(경제와 사회 = Economy and Society,
v.93,
2012,
pp.104-136)
-
185.
- 시민정치가 유권자 의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
- 표대성
-
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, 국내석사,
vii, 94장, 2012
-
186.
- 제로페이(Zero-pay)인식이 사용의향 및 사용자확대예측에 미치는 영향
- 박연주
-
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, 국내석사,
v, 83 p., 2020
-
187.
- 2021년 4·7서울시장보궐선거에서의 유권자 투표행태에 관한 연구
- 김대현
-
한양대학교, 국내박사,
179, 2023
-
188
-
서울시 뉴타운정책변동의 유형학적 특성분석: 서울시장(정책리더)을 중심으로
-
김영단;
최근희;
임성은;
한국농촌경제연구원;
서울시립대학교;
서울시립대학교;
(한국행정연구,
v.23,
2014,
pp.63-84)
-
189.
- 지방자치단체장의 평판과 정치적 신념일치가 투표의도에 미치는 영향 : 광역시장에 대한 재투표를 중심으로
- 엄혜진
-
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viii, 169 p., 2014
-
190.
- 민주적 거버넌스에서 시민사회의 '협력적 대항력' 구성에 관한 실천 사례 연구 : 서울시 3개 자치구의 '협력적 대항력' 형태와 그 힘의 원천을 중심으로
- 이은주
-
성공회대학교, 국내박사,
229 p., 2019