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470건 중 470건 출력
, 19/47 페이지
-
181
-
유성기음반과 라디오방송을 통해 향유된 시조의 양상과 특징
-
박지애;
경북대학교;
(시조학논총,
v.0,
2016,
pp.7-28)
-
182
-
从存留养亲制度看清代司法中的情理表达
-
马洪伟;
中国政法大学;
(중국사연구,
v.0,
2016,
pp.217-237)
-
183
-
소?황?미의 尙意적 관점으로 서예비평하기
-
이성배;
대전대;
(한국사상과 문화,
v.0,
2007,
pp.523-576)
-
184
-
万历抗倭援朝战争中的宣大将士相关问题概说 -兼论宣大籍将领研究个案的新进展-
-
徐成;
南開大學Nankai University;
(연민학지,
v.39,
2023,
pp.275-314)
-
185
-
『덕수궁원안(德壽宮原案)』을 통한 1910년대 덕수궁 중심공간의 변화 고찰
-
서영옥;
김왕직;
명지대학교 건축학과;
명지대학교 건축학과;
(건축역사연구 :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=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,
v.31,
2022,
pp.45-56)
-
186
-
大用流行: 왕부지 본체론 연구
-
안재호;
중앙대학교;
(중국학보,
v.0,
2011,
pp.433-460)
-
187.
- 20세기 전반기 조선왕실의 변화와 창덕궁 건축활동의 성격
- 장필구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ⅻ, 285 p., 2014
-
188
-
중국의 안례 지도 제도에 관한 고찰
-
허욱;
북경대학교;
(중국법연구,
v.18,
2012,
pp.195-219)
-
189
-
甲骨文部首와 『說文解字』 部首의 비교 연구
-
김은희;
연세대학교;
(중국어문학논집,
v.0,
2010,
pp.7-31)
-
190
-
중.한 번역에 있어서 인간과 컴퓨터의 조화
-
강병규;
서울시립대학교;
(중국문학,
v.58,
2009,
pp.255-28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