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한국 근대시기 현토본 중국소설 간행 연구
-
윤보경;
;
(중국소설논총,
v.0,
2011,
pp.207-235)
-
12
-
『유가사지론』점토석독구결의 ‘지시선’에 대하여
-
장경준;
;
(口訣硏究 = Journal of the society of Kugyol,
v.11,
2003,
pp.189-209)
-
13
-
釋讀口訣의 "故"자의 현토 경향에 대한 고찰(1) - 字吐釋讀口訣 자료 5종을 대상으로
-
장경준;
;
(口訣硏究 = Journal of the society of Kugyol,
v.7,
2001,
pp.113-134)
-
14
-
A Comparative Study on Unhae and Saki As Buddhist Scriptures of Joseon Period and Tanhuh Hyontoyeokhae
-
Lee, Sang-Ha;
;
(禪學 = Journal of korean seon studies,
v.51,
2018,
pp.197-223)
-
15
-
'A review of the discussion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Mencius(孟子) using Hyunto glosses(懸吐) - Focusing on Lee Ik(李瀷)’s Maengjajilseo(孟子疾書) and An Jeong-Bok(安鼎福)’s Gyungseoyiyi(經書疑義)'
-
Byeon, Eunmi;
;
(어문논집= The society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95,
2022,
pp.147-174)
-
16
-
Commentary comparative study on commentary(懸吐) of Yulgok's annotation of the Four Books(栗谷四書諺解) and Kyojeongcheong's annotation of the Four Books(校正廳四書諺解)
-
Lee, Gyu-pil;
;
(大東漢文學,
v.61,
2019,
pp.5-34)
-
17.
- 『四明心法』에 대한 문헌적 연구 : 懸吐와 飜譯을 통한 임상적 의의를 중심으로
- 정한
-
세명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, 220 p., 2010
-
18
-
갈근나복자탕(葛根蘿葍子湯)의 기원(基源)과 창방(創方) 시기(時期)에 관한 고찰(考察)
-
정용재;
박성식;
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체질의학과;
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체질의학과;
(사상체질의학회지 =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,
v.22,
2010,
pp.9-16)
-
19
-
조선 시대의 懸吐에 대한 인식
-
강민구;
경북대학교;
(동방한문학,
v.0,
2020,
pp.7-54)
-
20
-
'함산사촌(咸山沙村) 동의수세보원(東醫壽世保元) 갑오구본(甲午舊本)'과 '상교현토동의수세보원(詳校懸吐東醫壽世保元)'의 비교 연구
-
이태규;
김상혁;
이준희;
이수경;
김달래;
고병희;
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체질과;
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체질과;
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체질과;
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체질과;
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체질과;
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체질과;
(사상체질의학회지 =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,
v.20,
2008,
pp.21-3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