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.
- 조선시대 止酒詩 수용과 창작 양상
- 왕예
-
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, 국내석사,
iv, 122 p., 2024
-
12
-
중국학 전자자료의 검색과 활용 방안 고찰 - 三國演義 「强弩之末」를 중심으로
-
박준수;
;
(중국소설논총,
v.0,
2010,
pp.469-489)
-
13
-
劉鳳翰 著「袁世凱與戊戌政變」 文星叢刊 第83, 臺北 1964. pp. 247, 王樹槐 著「外人與戊戌變法」 中國學術著作獎助委員會叢書6, 臺北 1965, 本文 pp. 248, 附錄ㆍ索引 pp. 53
-
閔斗基;
;
(東洋史學硏究 = Journal of Asian historical studies,
v.1,
1966,
pp.58-64)
-
14.
- 조선 후기 중국어 교과서 어휘 연구
- 문양
-
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, 2022
-
15.
- 조헌영의 『婦人病治療法』에 대한 의사학적 연구
- 김도원
-
경희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[ⅲ], 75 p., 2019
-
16
-
번역문학과 문화변용 -이솝우화(Aesop's Fables)의 중문(中文) 버전에 대한 통시적 고찰
-
김소정;
부산대학교;
(중국어문학,
v.0,
2010,
pp.463-486)
-
17.
- 《관화총집》품사 연구
- 이바른이
-
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295, 2011
-
18.
- 음식문화로 본 도교 양생철학에 대한 일고찰
- Yang, Juan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, 77 p., 2023
-
19
-
探析近代中國企業史的力作 -評<<中國化學工業奠基者“永久黃”團體研究>> (趙津ㆍ李健英 著, 天津人民出版社, 2014)
-
侯杰;
楊林源;
南开大学历史学院;
南開大學歷史學院;
(중국사연구,
v.0,
2016,
pp.299-304)
-
20
-
退溪學を形成するもの(Ⅱ) — <心經附註>の史的地位—
-
望月 高明;
;
(퇴계학논총,
v.0,
2010,
pp.93-12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