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02건 중 102건 출력
, 2/11 페이지
-
11
-
동북아시아적 관점에서 본 북한 청동기시대의 형성과 전개
-
강인욱;
부경대학교;
(동북아역사논총,
v.0,
2011,
pp.385-436)
-
12
-
고고자료로 본 백산말갈과 고구려의 책성
-
강인욱;
경희대학교;
(동북아역사논총,
v.0,
2018,
pp.43-79)
-
13
-
V.V.포노소프의 발해 상경성 발굴과 동아고고학회
-
강인욱;
경희대학교;
(고구려발해연구,
v.48,
2014,
pp.77-105)
-
14
-
中國 오르도스(顎爾多斯) 靑銅器의 槪念과 初期硏究에 대한 檢討 -骨董學에서 新中國 成立以前까지
-
강인욱;
부경대;
(중국사연구,
v.0,
2007,
pp.311-348)
-
15
-
유라시아 동부 초원지역 선비·유연 시기 고고학적 문화와 그 의의
-
강인욱;
경희대학교;
(동북아역사논총,
v.0,
2017,
pp.34-75)
-
16
-
리지린의 『고조선 연구』와 조중고고발굴대 - 顧頡剛의 자료를 중심으로 -
-
강인욱;
경희대학교;
(선사와 고대,
v.0,
2015,
pp.29-58)
-
17
-
三江平原 滾兎嶺·鳳林문화의 형성과 勿吉·豆莫婁·靺鞨의 출현
-
강인욱;
경희대학교;
(고구려발해연구,
v.52,
2015,
pp.107-147)
-
18
-
청동기시대 고대 북방 유라시아와 동북아시아의 네트워크 -전차의 확산을 중심으로-
-
강인욱;
경희대학교;
(선사와 고대,
v.0,
2021,
pp.5-43)
-
19
-
고고학으로 본 흉노의 발생과 분포
-
강인욱;
부경대학교;
(문화재,
v.0,
2003,
pp.105-156)
-
20
-
17-20세기 러시아 만주학 연구의 시작과 전개과정 -북경교회사절단을 중심으로
-
강인욱;
;
(민족문화연구,
v.0,
2016,
pp.61-9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