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고성만 수질의 장기변동 특성
-
권정노;
국립수산과학원;
(한국해양환경•에너지학회지,
v.13,
2010,
pp.279-287)
-
12
-
고성만 굴 양식장 표층퇴적물의 지화학적특성과 중금속 오염에 관한 연구
-
강주현;
이상준;
정우건;
조상만;
경상대학교 해양과학대학 해양생명과학과, 해양산업연구소;
경상대학교 해양과학대학 해양생명과학과, 해양산업연구소;
경상대학교 해양과학대학 해양생명과학과, 해양산업연구소;
군산대학교 해양과학대학 해양생명과학과;
(한국패류학회지 =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,
v.28,
2012,
pp.233-244)
-
13.
- 고성만 굴양식장의 대장균 변동에 대한 원인 규명
- 이슬기
-
경상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Ⅷ, 46 p., 2018
-
14
-
고성만 패류양식해역의 계절적 수질환경 특성
-
배현준;
조상만;
강주현;
정우건;
;
(한국패류학회지,
v.37,
2021,
pp.165-171)
-
15
-
고성만 패류양식해역의 계절적 수질환경 특성
-
배현준;
조상만;
강주현;
정우건;
경상대학교 해양식품생명의학과;
군산대학교;
코리아오션리서치;
경상국립대학교;
(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,
v.37,
2021,
pp.165-171)
-
16
-
하구 생태 복원을 위한 생태구역 구분; 남해 고성만 고성천 인근 하구의 예
-
안순모;
이상룡;
최재웅;
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;
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;
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;
(바다 : 한국해양학회지 = The sea :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,
v.16,
2011,
pp.70-80)
-
17
-
먹이가용성에 의한 고성만의 굴 양식장 수용력
-
이상준;
정우건;
조상만;
권정노;
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;
경상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;
군산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;
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;
(한국패류학회지 =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,
v.32,
2016,
pp.83-93)
-
18
-
2011년 11월 고성만 굴(Crassostrea gigas) 양식장 수질환경 모니터링을 통한 이산화탄소 수지 평가
-
심정희;
예미주;
임재현;
권정노;
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;
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;
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;
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;
(한국수산과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,
v.47,
2014,
pp.1026-1036)
-
19
-
고성만 굴양식장의 대장균 변동에 대한 원인규명
-
이슬기;
조상만;
정우건;
경상대학교;
군산대학교;
경상대학교;
(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,
v.34,
2018,
pp.225-239)
-
20.
- 먹이가용성에 의한 고성만의 굴양식장 수용력
- 이상준
-
경상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xi, 132 p., 2009