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00건 중 200건 출력
, 2/20 페이지
-
11
-
공동육아보육을 위한 협동조합 활성화: 서울 경기지역 공동육아 협동조합 사례연구를 중심으로
-
오하나;
배정환;
경복대학교;
한서대학교;
(한국비교정부학보,
v.17,
2013,
pp.193-220)
-
12.
- 공동육아 어린이집의 시·공간 및 연령통합 교육과정 운영 연구
- 심미연
-
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ⅲ, 163 p., 2007
-
13.
- 장애아 통합교육 경험에 대한 공동육아 교사들의 목소리
- 박정화
-
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90 p., 2009
-
14.
- 공동육아 현직교육에 관한 연구 : 현장학교 기초과정을 중심으로
- 김미애
-
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ⅵ, 111p., 2005
-
15
-
Research Trends on Cooperative Childcare and Community Education : The History and Meaning of Cooperative Childcare as a Community
-
Lee, Boomi;
;
(유아교육학논집 =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& review,
v.28,
2024,
pp.201-234)
-
16
-
육아공동체 참여 경험에 관한 연구 -서울시 공동육아 활성화사업을 중심으로-
-
조유성;
한창근;
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학과;
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학과;
(한국아동복지학=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,
v.67,
2019,
pp.61-90)
-
17
-
현장 사례로 본 공동육아나눔터의 주요 기능과 운영상 문제 및 활성화 조건
-
이승미;
김선미;
우석대학교 아동복지학과;
광주대학교 가족복지전공;
(가족자원경영과 정책 =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,
v.26,
2022,
pp.59-73)
-
18
-
건강가정지원센터의 공동육아나눔터에 관한 사례연구: 인천소재 공동육아나눔터의 물리적 실내공간환경을 중심으로
-
최재순;
조정현;
공은희;
인천대학교 소비자 아동학과;
가톨릭대학교 주거학;
인천서구 건강가정.다문화가족지원센터 가족지원팀;
(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: fer,
v.54,
2016,
pp.263-278)
-
19
-
건강가정지원센터의 가족품앗이 및 공동육아나눔터 사업운영 전략
-
차성란;
대전대학교 아동교육상담학과;
(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=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,
v.16,
2012,
pp.187-210)
-
20
-
프로젝트 리포트 : 신촌 공동육아 ‘우리 어린이집’ 놀이터 프로젝트 - 너무 큰 마당
-
유명희;
;
(建築 = Review of architecture and building science,
v.51,
2007,
pp.80-8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