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,811건 중 1,000건 출력
, 2/100 페이지
-
11
-
한국 현대공예의 전통과 창작
-
최건;
;
(美術史學 = Art History,
v.5,
1991,
pp.65-77)
-
12
-
공예에서 공예 교육으로초등공예교육에서의 교육 내용 선택과 교육학적 전환에 대한 분석
-
이은적;
대구교육대학교;
(조형교육,
v.0,
2005,
pp.185-209)
-
13
-
공예품 생산과 수용의 키치적 특성 고찰
-
정희균;
가야대학교 예술학부 요업디자인과;
(디자인學硏究 =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,
v.11,
1998,
pp.251-262)
-
14
-
1950-70년대 한국 공예계 지형과 제도: 유강열의 예술 욕망과 공예계 제도들
-
박남희;
홍익대학교;
(미술사학보,
v.0,
2020,
pp.73-100)
-
15.
- 대학교 공예 교육과정의 실태 조사 연구 : 서울특별시 4년제 대학교 공예학과 중심으로
- 성낙봉
-
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, 국내석사,
vi, 75p., 2002
-
16
-
조선 후기 유리거울의 수입과 공예품의 특징
-
박진경;
홍익대학교 미술사학과;
(文化財 =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,
v.52,
2019,
pp.206-225)
-
17
-
섬유공예의 예술적, 미학적 가능성과 근거
-
연희원;
;
(철학과 현상학 연구,
v.37,
2008,
pp.113-136)
-
18
-
文武王代의 美術 - 彫刻과 金屬工藝
-
崔應天;
;
(新羅 文化,
v.16,
1999,
pp.119-171)
-
19
-
공예문화상품의 현황과 발전방안
-
김원석;
김성민;
공주대학교 조형디자인학부 세라믹;
공주대학교 조형디자인학부 세라믹;
(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=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,
v.7,
2007,
pp.74-82)
-
20.
- 純粹立體 造形과 工藝學習
- 노영자
-
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x, 57p., 198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