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역사 교과서 왜곡,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
-
구난희;
;
(社會科敎育 = Social studies education,
v.41,
2002,
pp.121-144)
-
12
-
역사의 의미 내면화를 돕기 위한 ‘도입단원’의 구성 방향
-
구난희;
;
(역사교육연구= Studies on history education,
v.3,
2006,
pp.99-144)
-
13
-
渤日 交流에 등장한 소그드인, 그 경위와 의미
-
구난희;
한국학중앙연구원;
(고구려발해연구,
v.63,
2019,
pp.63-94)
-
14.
- 國際理解 增進을 위한 渤海. 日本 交流史 學習 硏究
- 구난희
-
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박사,
vii,248p., 2003
-
15
-
최근 일본의 발해연구 동향과 과제
-
구난희;
한국학중앙연구원;
(고구려발해연구,
v.74,
2022,
pp.259-295)
-
16
-
渤海의 水路 體系에 관한 試論的 考察 -중국 黑龍江省을 중심으로-
-
구난희;
한국학중앙연구원;
(고구려발해연구,
v.49,
2014,
pp.187-217)
-
17
-
高考 역사 시험의 운영구조와 문항구성 양상
-
구난희;
한국학중앙연구원;
(역사교육연구,
v.0,
2023,
pp.175-228)
-
18
-
발해ㆍ일본의 교류개시기에 대한 검토-『續日本紀』養老4年 記事를 중심으로-
-
구난희;
한국학중앙연구원;
(고구려발해연구,
v.35,
2009,
pp.251-277)
-
19
-
北方故土意識의推移에관한고찰Ⅰ- 발해멸망~조선후기 -
-
구난희;
한국학중앙연구원;
(고구려발해연구,
v.42,
2012,
pp.247-275)
-
20
-
渤海, 遼, 金의 五京制와 上京
-
구난희;
한국학중앙연구원;
(선사와 고대,
v.0,
2015,
pp.83-11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