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31건 중 131건 출력
, 2/14 페이지
-
11
-
시, 혹은 조선시란 무엇인가-김억의 작시법(1925)에 대하여
-
구인모;
;
(韓國文學硏究= Studies in Korean litererature,
v.25,
2002,
pp.297-316)
-
12
-
蕩子의 歸鄕과 朝鮮의 發見 - 1920년대 韓國近代詩와 故鄕의 發見
-
구인모;
;
(韓國文學硏究= Studies in Korean litererature,
v.31,
2006,
pp.111-140)
-
13
-
근대기 시인의 현실과 유행가요 창작의 의미
-
구인모;
;
(韓國文學硏究= Studies in Korean litererature,
v.42,
2012,
pp.217-244)
-
14
-
[논문] 『학지광』문학론의 미학주의
-
구인모;
;
(한국근대문학연구 = Journal of modern Korean literature,
v.1,
2000,
pp.116-141)
-
15
-
국토순례와 민족의 자기구성-근대 국토기행문의 문학사적 의의-
-
구인모;
;
(韓國文學硏究= Studies in Korean litererature,
v.27,
2004,
pp.128-152)
-
16
-
김동환의 가요운동과 유성기음반 취입
-
구인모;
;
(한국시학연구 = Korean poetics studies,
v.2009,
2009,
pp.167-194)
-
17
-
金億의 格調詩形論에 對하여
-
구인모;
;
(韓國文學硏究= Studies in Korean litererature,
v.29,
2005,
pp.263-294)
-
18
-
한국 근대시와 ‘조선’이라는 심상지리
-
구인모;
;
(한국학 연구=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한국학 연구,
v.28,
2008,
pp.153-180)
-
19
-
시적 발화(發話)의 가능성 혹은 한계로서 유행가요 - 유도순(劉道順)의 사례를 통하여
-
Ku, In Mo;
;
(한국근대문학연구 = Journal of modern Korean literature,
v.2013,
2013,
pp.35-65)
-
20
-
최남선의 ‘시국가요’와 식민지의 정치의 미학화
-
구인모;
;
(國際語文 =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international context,
v.42,
2008,
pp.273-30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