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2011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비판적 고찰: 기하 영역을 중심으로
-
박교식;
권석일;
경인교육대학교;
경인교육대학교;
(數學敎育學硏究 =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,
v.22,
2012,
pp.261-275)
-
12
-
역사-발생적 접근을 통한 논증 기하 학습의 직관적 수준에 대한 고찰
-
홍진곤;
권석일;
건국대학교 수학교육과;
서울대학교 대학원;
(한국수학사학회지 = The Korean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,
v.16,
2003,
pp.55-70)
-
13
-
케일리 공식의 네 가지 증명
-
서승현;
권석일;
홍진곤;
강원대학교;
경인교육대학교;
건국대학교;
(한국수학사학회지 = The Korean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,
v.21,
2008,
pp.127-142)
-
14
-
중학교 기하 교재의 '원론' 교육적 고찰
-
우정호;
권석일;
서울대학교;
서울대학교 대학원;
(數學敎育學硏究 =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,
v.16,
2006,
pp.1-23)
-
15
-
우리나라 2011 초등수학 교육과정 등재용어의 조성에 관한 연구
-
박교식;
권석일;
경인교육대학교;
경인교육대학교;
(數學敎育學硏究 =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,
v.22,
2012,
pp.429-444)
-
16
-
삼각형의 결정조건'에 대한 논의의 분석
-
박선용;
권석일;
서울대학교 대학원;
서울대학교 대학원;
(數學敎育學硏究 =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,
v.14,
2004,
pp.435-447)
-
17
-
19세기 대수학 및 논리학 발달에서의 드모르간의 위상
-
최지선;
박선용;
김재홍;
권석일;
박교식;
중흥중학교;
한국교육과정평가원;
서울대학교 대학원;
경인교육대학교;
경인교육대학교;
(한국수학사학회지 = The Korean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,
v.22,
2009,
pp.129-144)
-
18
-
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의 용어 사용과 정의 방식에 관한 비판적 분석 : 몇 가지 예를 중심으로
-
권석일;
박교식;
경인교육대학교 수학교육과;
경인교육대학교 수학교육과;
(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=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,
v.15,
2011,
pp.301-316)
-
19
-
초등수학영재들이 페그퍼즐 과제에서 보여주는 대수적 일반화 과정 분석
-
송상헌;
임재훈;
정영옥;
권석일;
김지원;
경인교육대학교;
경인교육대학교;
경인교육대학교;
경인교육대학교 산업협력단;
경인교육대학교;
(數學敎育學硏究 =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,
v.17,
2007,
pp.163-177)
-
20
-
수학 수업과 스토리텔링
-
권석일;
경인교육대학교;
(수학교육철학연구,
v.2,
2020,
pp.1-1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