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유형: 부모의 삶의 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의 영향력과 유형에 따른 청소년의 학업열의와 학업무기력
-
기쁘다;
한국방송통신대학교;
(Human Ecology Research,
v.59,
2021,
pp.215-231)
-
12
-
부모의 가족 상호작용과 양육효능감, 아동 문제 행동과 행복 간 관계에 대한 종단연구
-
기쁘다;
연세대학교;
(열린부모교육연구,
v.10,
2018,
pp.67-94)
-
13
-
한국어 교육을 위한 ‘기쁘다’ 유의어의 공기 관계 연구
-
배윤정;
공주대학교;
(어문연구,
v.85,
2015,
pp.5-23)
-
14
-
중년기 일과 가정 사이의 갈등 그리고 일에서의 소진이 결혼불안정성에 미치는 영향: 가족소속감의 매개효과
-
김동훈;
기쁘다;
연세대학교;
한국방송통신대학교;
(가정과삶의질연구,
v.38,
2020,
pp.111-125)
-
15
-
아동기 역경 경험과 아동의 미디어기기 중독과의 연관성
-
강혜성;
기쁘다;
경상국립대학교;
한국방송통신대학교;
(한국심리학회지: 건강,
v.28,
2023,
pp.999-1021)
-
16
-
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취업모의 양육행동과 일-가족 균형 유형에 따른 아동의 전반적 행복감과 집행기능 곤란
-
성미애;
기쁘다;
한국방송통신대학교;
한국방송통신대학교;
(가정과삶의질연구,
v.39,
2021,
pp.63-80)
-
17
-
Beyond Snyder’s Hope Theory: the Necessity to Redefine Hope and Create a Comprehensive Hope Scale in Korea
-
기쁘다;
이동귀;
김혜영;
연세대학교;
연세대학교;
연세대학교;
(한국심리학회지: 사회및성격,
v.22,
2008,
pp.75-92)
-
18
-
부모소명의 한국적 의미와 개념 탐색
-
김수진;
기쁘다;
이수란;
연세대학교;
한국방송통신대학교;
경남대학교;
(인문논총,
v., 58,
2022,
pp.143-172)
-
19
-
A Study on the Differentiation of the Meaningof ‘Happiness’ Type Emotional Verbsthrough Semantic Preference -Focusing on ‘gippeuda, jeulgeopda, bangapda, jaemiitdaand haengbokada’-
-
Xiao, Shen-nian;
;
(우리어문연구 = The Studies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74,
2022,
pp.531-565)
-
20
-
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감정 형용사의 교육 연구 - ‘즐겁다’ 유의어의 의미와 사용 맥락 비교를 중심으로
-
손달임;
;
(이화어문논집,
v.0,
2019,
pp.275-30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