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자기조절학습전략 프로그램이 학업성취와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
-
김만권;
이기학;
;
(한국심리학회지 : 상담 및 심리치료,
v.15,
2003,
pp.491-504)
-
12
-
The Extraordinary Politics of Constitution-Building As a Legitimate Means for Reconciliation: Seeking Constitutional Unification for the Two Koreas
-
김만권;
연세대학교;
(법철학연구,
v.17,
2014,
pp.267-294)
-
13
-
‘샌더스’와 ‘코빈’ 신드롬 ― 지구화시대의 불평등과 제도권을 통한 풀뿌리 저항
-
김만권;
연세대학교;
(역사비평,
v.0,
2016,
pp.137-164)
-
14
-
‘좌파 포퓰리즘’ 전략은 ‘민주적’ 대안인가: ‘무세계적’인 자들의 민주주의?
-
김만권;
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비교문화연구소;
(비교문화연구,
v.60,
2020,
pp.53-82)
-
15
-
페미니스트가 페미니스트에게: ‘젠더’를 넘어 ‘연대’로『전진하는 페미니즘: 여성주의 상상력, 반란과 반전의 역사』 낸시 프레이저 지음, 임옥희 옮김, 돌베개, 2017
-
김만권;
연세대학교;
(시민과 세계,
v.0,
2018,
pp.237-249)
-
16
-
'헌법 애국주의', 자신이 구성하는 정치공동체에 애정을 갖는다는 것
-
김만권;
뉴스쿨대학교;
(시민과 세계,
v.0,
2009,
pp.185-210)
-
17
-
‘탈진실’ 시대의 정치와 논쟁적 민주주의 모델
-
김만권;
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비교문화연구소;
(철학,
v.0,
2021,
pp.137-156)
-
18
-
능력도 세습된다
-
김만권;
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비교문화연구소;
(시민과 세계,
v.0,
2021,
pp.281-289)
-
19
-
대한민국 ‘도래할’ 헌법의 정치철학 ‒‘새로운 시작’과 ‘인민헌정주의’‒
-
김만권;
연세대학교;
(철학,
v.0,
2018,
pp.129-157)
-
20
-
편집자의 글
-
김만권;
연세대학교;
(시민과 세계,
v.0,
2018,
pp.1-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