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조선왕조(朝鮮王朝)의 영접도감(迎接都監) 연향색의궤(宴享色儀軌)에 관한 분석적(分析的) 연구(硏究) 하마연(下馬宴), 상마연(上馬宴)의 상(床)차림과 그 찬품구성에 관하여-(1609년(年), 1634년(年), 1643년(年)의 의궤(儀軌)를 중심(中心)으로)-
-
김상보;
이성우;
대전보건전문대학 전통조리과;
한양대학교 가정대학 식품영양학과;
(韓國食文化學會誌 =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ietary culture,
v.7,
1992,
pp.43-54)
-
12
-
조선왕조(朝鮮王朝)의 중국사신영접(中國使臣迎接)에 대한 고찰(考察)
-
김상보;
이성우;
대전보건전문대학 전통조리과;
한양대학교 가정대학 식품영양학과;
(韓國食文化學會誌 =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ietary culture,
v.6,
1991,
pp.459-464)
-
13
-
조선통신사(朝鮮通信使) 및 일본사신(日本使臣)을 통해서 한(韓).일(日)간의 음식문화(飮食文化)의 비교와 , 대마도에서의 연회(宴會)를 통해서 본 조선왕조(朝鮮王朝)의 수배상(壽杯床).과반(果盤).아가상(阿架床) 고(考)
-
김상보;
대전보건대학 전통조리과;
(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=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,
v.14,
1999,
pp.115-129)
-
14
-
서울지방의 무속신앙(巫俗信仰) 제상(祭床)차림을 통(通)하여 본 식문화(食文化)에 대한 고찰(考察)
-
김상보;
황혜성;
대전보건전문대학 식품영양과;
전 성균관대학교 가정대학 가정관리학과;
(韓國食文化學會誌 =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ietary culture,
v.3,
1988,
pp.219-243)
-
15
-
조리면(調理面)에서 본 조선왕조(朝鮮王朝) 영접도감의궤(迎接都監儀軌)의 찬품(饌品)에 대한 고찰(考察)
-
김상보;
이성우;
대전보건전문대학 전통조리과;
한양대학교 가정대학 식품영양과;
(韓國食文化學會誌 =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ietary culture,
v.7,
1992,
pp.141-148)
-
16
-
조선왕조(朝鮮王朝)의 영접도감미면색의궤(迎接都監米麵色儀軌)에 관한 분석적(分析的) 연구(硏究) (1609년(年), 1610년(年)의 의궤(儀軌)를 중심(中心)으로)
-
김상보;
이성우;
대전보건전문대학 전통조리과;
한양대학교 가정대학 식품영양과;
(韓國食文化學會誌 =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ietary culture,
v.6,
1991,
pp.445-457)
-
17
-
가례도감의궤(嘉禮都監儀軌)에 나타난 조선왕조궁중가례(朝鮮王朝宮中嘉禮)차림고(考) -1744년(年) 장조(莊祖) 헌경후(獻敬后) 1819년(年) 문조(文祖) 신정후(神貞后) 가례(嘉禮) 동뢰연(同牢宴)-
-
김상보;
이성우;
대전보건전문대학 전통조리과;
한양대학교 가정대학 식품영양학과;
(韓國食文化學會誌 =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ietary culture,
v.6,
1991,
pp.1-19)
-
18
-
조선(朝鮮) 통신사(通信使)를 포함한 한(韓).일(日) 관계에서의 음식문화(飮食文化) 교류 -1. 조선전기(朝鮮前期) 한(韓).일(日)관계에서의 교역물품과 일본사신(日本使臣) 접대-
-
김상보;
장철수;
대전보건대학 전통조리과;
한국정신문화연구원;
(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=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,
v.13,
1998,
pp.339-362)
-
19
-
조선(朝鮮) 통신사(通信使)를 포함한 한(韓).일(日) 관계에서의 음식문화(飮食文化) 교류 -2. 조선중기(朝鮮中期) 한(韓).일(日) 관계에서의 교역물품과 일본사신(日本使臣) 접대-
-
김상보;
장철수;
대전보건대학 전통조리과;
한국정신문화연구원;
(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=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,
v.13,
1998,
pp.363-381)
-
20
-
조선왕조(朝鮮王朝)의 영접도감(迎接都監) 잡물색의궤(雜物色儀軌)에 관한 분석적(分析的) 연구(硏究) 상차림과 그 찬품(饌品)구성에 관하여-(1609년(年), 1643년(年)의 의궤(儀軌)를 중심(中心)으로)-
-
김상보;
이성우;
대전보건전문대학 전통조리과;
한양대학교 가정대학 식품영양학과;
(韓國食文化學會誌 =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ietary culture,
v.7,
1992,
pp.55-6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