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서평 - 고대 민족문화연구소 편 『한국현대문화사대계Ⅰ』(문학·예술사편)
-
김열규;
;
(亞細亞 硏究,
v.19,
1976,
pp.257-263)
-
12
-
폐선과 백지 사이
-
김열규;
;
(시조시학 = Poetics & Sijo,
v.6,
1997,
pp.53-55)
-
13
-
박선미 동화 『욕 시험』보리 2009 - 가슴 교육의 첫걸음
-
김열규;
;
(창비어린이,
v.7,
2009,
pp.274-275)
-
14
-
The Aesthetics of 'Swearing' in Kim Yeol-gyu's Works: It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
-
Seo, Youseok;
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 = Korean literary theory and criticism,
v.27,
2023,
pp.29-50)
-
15
-
한국 여성 의미론
-
김열규;
;
(아세아여성연구 = Journal of Asian women,
v.34,
1995,
pp.129-182)
-
16
-
고전문학(古典文學)과 현대문학(現代文學)
-
김열규;
;
(국어국문학,
v.88,
1982,
pp.411-417)
-
17
-
장 뒤비뇨 지음 '축제와 문명'을 읽고
-
김열규;
인제대 국문학과;
(출판저널 = The Korean publishing journal,
v.238,
1998,
pp.18-18)
-
18
-
[특집논문 : 향가]'제망매가' 거듭 읽기
-
김열규;
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 = Korean literary theory and criticism,
v.28,
2005,
pp.13-25)
-
19
-
한국인의 '원형' 찾아 학문뱃길 삼십년-'한국민속과 문학연구'부터 '한국신화와 무속연구'까지
-
김열규;
인제대 국문학과;
(출판저널 = The Korean publishing journal,
v.231,
1998,
pp.22-23)
-
20
-
문학을 위한 정보환경과 정보이론
-
김열규;
;
(西江人文論叢 = Humanities journal,
v.1997,
1997,
pp.3-7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