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秋齋 趙秀三의 「高麗宮詞」 小考
-
김영죽;
고려대학교;
(漢文古典硏究,
v.18,
2009,
pp.113-150)
-
12
-
韓國 竹枝詞 資料 集成의 필요성과 의미-그 방법론을 겸하여
-
김영죽;
성균관대학교;
(漢文古典硏究,
v.40,
2020,
pp.147-171)
-
13
-
18, 19세기 중인층의 지식 향유와 산출 - 해외체험을 통한 사대부 epigonen으로부터의 脫皮를 중심으로 -
-
김영죽;
대동문화연구원;
(漢文古典硏究,
v.28,
2014,
pp.201-230)
-
14
-
秋齋 趙秀三 文集의 編刊 재검토 및 오류의 是正 -연활자본 『추재집』 편간 오류의 是正과필사본 교감을 통한 ‘燕行詩’ 재정립을 중심으로-
-
김영죽;
고려대학교;
(동방한문학,
v.0,
2011,
pp.45-84)
-
15
-
베트남 漢文 使行文獻에 담긴 中國見聞, 그 특징적 면모 -조선의 燕行記錄과 比較를 겸하여-
-
김영죽;
;
(어문연구(語文硏究),
v.41,
2013,
pp.315-352)
-
16
-
姜浩溥의 『桑蓬錄』을 통해 본 교유의 일단
-
김영죽;
대동문화연구원;
(동방한문학,
v.0,
2014,
pp.287-320)
-
17
-
1760년, 조선사신 洪啓禧와 안남사신 黎貴惇의 만남
-
김영죽;
대동문화연구원;
(동방한문학,
v.0,
2013,
pp.169-192)
-
18
-
譯官, 士와 商의 경계에 서다-조선 후기 역관과 士商(儒商) 사이의 개연성을 중심으로-
-
김영죽;
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;
(한국언어문화,
v.0,
2022,
pp.5-30)
-
19
-
19세기 中人層 知識人의 海外體驗 一考 -碧蘆齋 金進洙의 燕行과 「燕京雜詠」을 중심으로-
-
김영죽;
;
(한국한문학연구,
v.0,
2011,
pp.501-536)
-
20
-
18, 19세기 중인층의 지식 향유와 산출 - 해외체험을 통한 사대부 epigonen으로부터의 脫皮를 중심으로 -
-
김영죽;
대동문화연구원;
(漢文古典硏究,
v.28,
2014,
pp.201-23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