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삼강행실도간본고
-
김원룡;
;
(東亞文化 = The Journal of S.N.U. Institute of Asian Studies,
v.1965,
1965,
pp.97-120)
-
12
-
삼국시대의 개시에 관한 일고찰
-
김원룡;
;
(東亞文化 = The Journal of S.N.U. Institute of Asian Studies,
v.1967,
1967,
pp.1-33)
-
13
-
광복기 경남부산지역의 아동문학 연구 - 남대우이원수김원룡의 동시집을 중심으로
-
한정호;
동국대학교;
(한국문학논총,
v.0,
2005,
pp.329-363)
-
14
-
한국 고고학 성립 시기 청동기 연구에 대한 새로운 인식 - 윤무병(1924~2010)의 연구를 중심으로 -
-
강인욱;
경희대학교 사학과;
(文化財 =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,
v.54,
2021,
pp.154-169)
-
15
-
한국고고학의 성과와 과제
-
김원룡;
문화재위원;
(문화재,
v.0,
1987,
pp.334-342)
-
16
-
광복기 경남부산지역의 아동문학 연구 - 남대우이원수김원룡의 동시집을 중심으로
-
한정호;
;
(한국문학논총,
v.0,
2005,
pp.329-363)
-
17
-
The Meaning of ‘Naturalism’ in Korean Art Discourse: Focusing on Kim Won-yong’s ‘Naturalsim’ and Lee Yil’s ‘Pan-naturalism’
-
Kim, Jeong-eun;
;
(美學·藝術學硏究,
v.71,
2024,
pp.118-136)
-
18
-
國土開發事業과 文化財保存에 대한 座談會
-
김원룡;
예용해;
유병임;
문화재위원;
;
;
(문화재,
v.0,
1983,
pp.120-132)
-
19
-
한국 고고학의 ‘原史’ 개념 도입과 원삼국시대론
-
박경신;
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;
(고문화,
v.0,
2021,
pp.7-44)
-
20
-
1950년대 아시아재단의 민족문화유산 지원 연구 - 국립중앙박물관 지원을 중심으로 -
-
정종현;
인하대학교;
(한국학연구,
v.0,
2019,
pp.131-15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