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??로크와 피에르 밸의 관용론 - ‘관용’을 넘어 양심의 자유로
-
김응종;
;
(프랑스사 연구,
v.2008,
2008,
pp.105-128)
-
12
-
몽테뉴의 종교
-
김응종;
;
(프랑스사 연구,
v.2005,
2005,
pp.31-60)
-
13
-
‘문명’의 개념과 문명사 연구
-
김응종;
;
(역사와 담론 = History and discourse : journal of historical review,
v.52,
2009,
pp.221-243)
-
14
-
근대 무신론의 철학적 기원 - 베네딕투스 데 스피노자와 피에르 밸을 중심으로
-
김응종;
;
(프랑스사 연구,
v.2009,
2009,
pp.45-72)
-
15
-
장 보댕과 관용
-
김응종;
;
(인문학연구 = Studies in the humanities :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,
v.46,
2012,
pp.55-81)
-
16
-
토마스 홉스와 무신론
-
김응종;
;
(역사와 담론 = History and discourse : journal of historical review,
v.55,
2010,
pp.269-294)
-
17
-
엠마뉘엘 르 루아 라뒤리, 현대 역사학의 증인
-
김응종;
;
(프랑스사 연구,
v.2004,
2004,
pp.209-230)
-
18
-
피에르 노라의 『기억의 장소』에 나타난 ‘기억’의 개념
-
김응종;
;
(프랑스사 연구,
v.2011,
2011,
pp.113-128)
-
19
-
서평 : 로망스의 사육제, 성촉절에서 성회례의 수요일까지, 1579~1580 (Paris : Gallimard, 1979), 426 p.
-
김응종;
;
(프랑스사 연구,
v.1999,
1999,
pp.201-209)
-
20
-
전통적 역사학과 새로운 역사학 - 변화하는 역사학의 어제와 오늘
-
김현식;
김응종;
;
(歷史 學報,
v.165,
2000,
pp.289-29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