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한국영화의 흥행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통합적 연구
-
임성준;
김주수;
중앙대학교 경영학부;
중앙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;
(지식경영연구 =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,
v.12,
2011,
pp.1-25)
-
12
-
개정가족법과 양성평등
-
김혜숙;
김주수;
;
(한국여성학= Journal of Korean women's studies,
v.6,
1990,
pp.128-156)
-
13
-
율곡 시에 나타난 ‘拙樸’의 미의식 -『정언묘선』 「원자집」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-
-
김주수;
;
(한국한문학연구,
v.0,
2008,
pp.409-443)
-
14
-
『精言妙選』「亨字集」 시의 공간미학 - ‘봄과 物外自樂을 지향하는 음의 공간성’을 중심으로
-
김주수;
경성대학교;
(동방한문학,
v.0,
2008,
pp.63-94)
-
15
-
黃眞伊 한시와 시조의 비교연구 - 수사적 특성을 중심으로
-
김주수;
경성대학교;
(漢文學報,
v.25,
2011,
pp.239-263)
-
16
-
晦隱 南鶴鳴 시세계 연구
-
김주수;
;
(한국한시연구,
v.0,
2005,
pp.247-285)
-
17
-
송강 한시와 가사의 비교 연구 -<代人戱別梧陰>와 <思美人曲>을 중심으로-
-
김주수;
경성대학교;
(漢文學報,
v.23,
2010,
pp.257-284)
-
18
-
하절기 아파트 단지의 열환경 실측과 CFD를 이용한 해석방법 검증에 관한 연구
-
김주수;
박화란;
박병용;
김태연;
이승복;
;
(大韓建築學會論文集 :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: Planning & design / 計劃系,
v.26,
2010,
pp.335-342)
-
19
-
김시습 시에 나타난 ‘拙樸’의 문예미학
-
김주수;
경성대학교;
(漢文學報,
v.18,
2008,
pp.251-280)
-
20
-
가족법 반세기의 회고와 과제
-
김주수;
;
(가족법연구,
v.23,
2009,
pp.1-2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