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신라 중대불교의 성립에 관한 연구
-
남동신;
;
(韓國文化,
v.21,
1998,
pp.113-142)
-
12
-
감산사(甘山寺) 아미타불상(阿彌陁佛像)과 미륵보살상(彌勒菩薩像) 조상기(造像記)의 연구
-
남동신;
서울대학교 국사학과;
(美術資料,
v.98,
2020,
pp.22-53)
-
13
-
三國統一과 思想界의 動向-中代初 국가와 불교 교단의 관계를 중심으로-
-
남동신;
;
(韓國古代史硏究 = The Journal of Korean Ancient History,
v.23,
2001,
pp.173-197)
-
14
-
李穡의 高麗大藏經 印出과 奉安
-
Nam, Dongsin;
;
(韓國史硏究= The journal of Korean history,
v.2013,
2013,
pp.143-188)
-
15
-
七長寺慧炤國師碑銘을 통해 본 鼎賢의 生涯와 思想
-
남동신;
;
(한국중세사연구,
v.2011,
2011,
pp.468-486)
-
16
-
원각사(圓覺寺)13층탑(層塔)에 대한 근대적 인식과 오해
-
남동신;
서울대학교 국사학과;
(美術資料,
v.100,
2021,
pp.50-80)
-
17
-
원각사종(圓覺寺鐘)에서 보신각종(普信閣鍾)으로 -조선시대 탈불교화의 일례-
-
남동신;
서울대학교 국사학과;
(美術資料,
v.104,
2023,
pp.102-142)
-
18
-
고려 전기 금석문과 法相宗
-
남동신;
;
(불교연구,
v.0,
2009,
pp.153-189)
-
19
-
三國遺事의 史書로서의 特性
-
남동신;
서울대학교;
(불교학연구,
v.16,
2007,
pp.45-70)
-
20
-
玄奘의 印度 求法과 玄奘像의 추이 ―西域記, 玄奘傳, 慈恩傳의 비교 검토를 중심으로
-
남동신;
서울대학교;
(불교학연구,
v.20,
2008,
pp.191-24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