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‘세계관해석’의 심화와 확장으로서의 철학상담: ‘소크라테스 대화’를 중심으로
-
노성숙;
;
(현대유럽철학연구,
v.0,
2016,
pp.1-36)
-
12
-
신화를 통해 본 여성주체의 형성: 『바리공주』텍스트분석을 중심으로
-
노성숙;
;
(한국여성학,
v.21,
2005,
pp.5-37)
-
13
-
CEO 나르시시즘에 대한 철학상담의 접근 가능성: 불안과 권력의 관점에서
-
양석준;
노성숙;
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;
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;
(현대유럽철학연구,
v.0,
2022,
pp.349-387)
-
14.
- 영어 보문에 관한 연구 : That절을 중심으로
- 노성숙
-
안양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61p., 2000
-
15.
- 하이덱거에 있어서 진리의 문제
- 노성숙
-
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ⅵ, 63p., 1988
-
16.
- Die Selbstkritik und 'Rettung' der Aufkla@rung : Untersuchungen zum Begriff der Aufkla@rung in der Dialektik der Aufkla@rung bei Adorno und Horkheimer
- 노성숙
-
Albert-Ludwigs-Universita@t zu Freiburg, 국외박사,
ii, 206 p., 1998
-
17
-
해석학적 이해를 실천하는 상담자- 가다머의 철학적 해석학을 중심으로
-
정승연;
노성숙;
시립보라매청소년센터 상담사.;
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철학상담전공 교수.;
(인문사회과학연구,
v.23,
2022,
pp.373-396)
-
18
-
한국에서 ‘워킹맘’으로 살아가기: 직장인엄마의 다중역할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
-
노성숙;
한영주;
유성경;
;
(한국심리학회지 : 상담 및 심리치료,
v.24,
2012,
pp.365-395)
-
19
-
Human understanding of philosophical counseling for female client-centered therapy -the case of female schizophrenic patient Ellen West-
-
노성숙;
;
(한국여성철학= Korean feminist philosophy,
v.20,
2013,
pp.143-180)
-
20
-
이야기로 풀어내는 주체성 -페넬로페와 오디세우스의 서사를 중심으로-
-
노성숙;
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;
(현상학과 현대철학,
v., 0,
2006,
pp.115-14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