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대학생과 건달, 김승옥 소설과 청춘 영화에 나타난 1960년대 청년 표상
-
노지승;
;
(한국현대문학연구 =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22,
2007,
pp.387-424)
-
12
-
내면성의 서사적 형식들에 관한 일고찰-20, 30년대 소설에 나타난 매음(賣淫) 모티프를 중심으로-
-
노지승;
;
(한국현대문학연구 =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13,
2003,
pp.51-78)
-
13
-
전후 소설에 나타난 남성 정체성의 문제와 문학교육적 함의 -서기원 손창섭 소설을 중심으로-
-
노지승;
경남대학교;
(문학교육학,
v.0,
2010,
pp.41-67)
-
14
-
Female spectators and formation of cinematic tradition in 1920s~1930s
-
노지승,;
;
(현대문학의 연구 =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40,
2010,
pp.175-217)
-
15.
- 한국 근대 소설의 여성 표상에 관한 연구
- 노지승
-
서울대학교, 국내박사,
vi, 189 p., 2005
-
16
-
고전소설의 영화화와 감성 공동체의 형성
-
노지승;
인천대학교;
(인문언어,
v.16,
2014,
pp.11-39)
-
17
-
젠더, 노동, 감정 그리고 정치적 각성의 순간 - 여성 사회주의자 정칠성(丁七星)의 삶과 활동에 대한 연구
-
노지승;
인천대학교;
(비교문화연구,
v.43,
2016,
pp.7-50)
-
18
-
사랑과 돌봄, 사적 영역의 변혁 시도와 한계 : 식민지 시기 콜론타이즘 수용의 유산들
-
노지승;
인천대학교;
(한국근대문학연구,
v.23,
2022,
pp.151-187)
-
19
-
김기영 「하녀」에 나타난 매저키즘적 쾌락의 양상
-
노지승;
;
(여성문학연구,
v.0,
2006,
pp.329-360)
-
20
-
장소애 없는 향수병: 이선희 소설에 나타난 이동과 공간의 상상력
-
노지승;
인천대학교;
(구보학보,
v.0,
2020,
pp.9-5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