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407건 중 407건 출력
, 2/41 페이지
-
11
-
Analysis of Wartime Diplomatic Activities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during the Asia-Pacific War: Focusing on diplomatic approval activities from the U.S. and China
-
Choi, Jung-Joon;
;
(한국동북아논총 = Journal of Northeast Asian studies,
v.27,
2022,
pp.5-24)
-
12
-
19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‘파리한국대표부’의 외교활동 -김규식의 활동을 중심으로-
-
이장규;
프랑스 파리디드로대학;
(한국독립운동사연구,
v.0,
2020,
pp.47-94)
-
13
-
Ahn Jae-hong in 1919 - to the activity of Korean Youths for Diplomatic Services
-
Kim , In Sik;
;
(崇實史學,
v.42,
2019,
pp.155-186)
-
14
-
연병호와 대한민국청년외교단 활동
-
조은경;
서울시립대학교;
(한국민족운동사연구,
v.0,
2019,
pp.159-182)
-
15
-
중경시기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외교활동
-
한시준;
단국대학교;
(한국독립운동사연구,
v.0,
2016,
pp.71-108)
-
16
-
大韓民國 臨時政府의 外交와 列强의 反應
-
兪炳勇;
;
(한국정치외교사논총,
v.14,
1996,
pp.163-185)
-
17.
- 대한민국 민간항공산업 내 비즈니스 외교와 기업성과에 관한 연구
- 신해영
-
韓國航空大學校, 국내석사,
vi, 80장, 2020
-
18
-
The Form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PG ROK and RSFSR, the Process Independent Diplomacy and ‘Secret Military Agreement’
-
Sim, Heon-Yong;
;
(재외한인연구 = Studies of Koreans Abroad,
v.54,
2021,
pp.1-29)
-
19
-
북한의 국방위원장은 대한민국에서 외교면제를 향유하는가? - 분단국가 국가수반의 법적 지위에 관한 연구
-
羅仁均;
;
(國際法學會論叢,
v.47,
2002,
pp.77-96)
-
20
-
군사외교를 통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대외적 자율성 확보 정책 : 아시아·태평양전쟁 시기 한국광복군의 자주권 회복 및 미국·영국군과 군사합작 활동을 중심으로
-
최정준;
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;
(한국과 국제사회,
v.6,
2022,
pp.5-3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