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.
- 동남 방언 조동사 연구 : 문법화와 관련하여
- 성진영
-
경상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32 p., 2013
-
12
-
경북동남방언의 산채류명에 대하여
-
손병태;
;
(嶺南 語文學,
v.19,
1991,
pp.239-259)
-
13
-
The Phonological Environment of the Sonorant Consonant Copying Phenomenon in Southeastern Dialects
-
Park, Joo-sung;
;
(국어국문학 =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209,
2024,
pp.31-70)
-
14
-
동남 방언의 담화표지 ‘고마’
-
이기갑;
;
(우리말연구,
v.,
2009,
pp.41-77)
-
15
-
Southeastern Dialect in Literature: Yesterday and Today
-
KIM, HANBYUL;
;
(방언학= The journal of Korean dialectology,
v.34,
2021,
pp.189-222)
-
16
-
동남 방언과 음운
-
김동은;
아주대학교;
(방언학,
v.0,
2024,
pp.5-36)
-
17
-
The aspect of variation on the border of two dialects conflict
-
Wi, Pyeong-ryang;
;
(방언학= The journal of Korean dialectology,
v.33,
2021,
pp.69-67)
-
18
-
방언형 형성의 통시성에 대한 음운론적 연구 - 동남방언의 몇몇 부사를 중심으로
-
이상신;
;
(語文學 : 한국어문학회 =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116,
2012,
pp.1-25)
-
19
-
한국의 동남방언과 일본의 이즈모 방언의 억양에 대한 비교
-
이병운;
부산대학교 국어교육과;
(대한음성학회 2005년도 추계 학술대회 발표논문집,
v.2005,
2005,
pp.169-177)
-
20
-
한국 동남방언과 일본 이즈모방언의 의문문 억양에 대한 대조 연구
-
이병운;
;
(우리말연구,
v.,
2005,
pp.1-21)